생리식염수로 비강청소하는 요령과 과정을 에미메이션을 잘 설명된 UCC 입니다.




블로그 이미지

peterpani.com

한유석원장*소아청소년과전문의

,
youtube에서 찾은 UCC입니다. 편도선염, 비염의 세균, 바이러스가 이관(유스타키오관)을 통해서 중이강(고막안쪽)으로 흘러들어가서 중이염이 생기는 과정을 이해쉽게 애니메이션으로 만들었네요...



블로그 이미지

peterpani.com

한유석원장*소아청소년과전문의

,
부비동염(↑)의 X-ray입니다. 부비동안에 콧물(점액)이 들어있기때문에, ↘모양을 따라서, 하얕게 보입니다.  밑(↓)의 X-ray는 경구항생제 및 비염 치료후에 정상으로 호전된 모습입니다. ↘모양을 따라서 까맣게 부비동안에 공기가 정상으로 잘 환기되는 모습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양쪽 부비동염(축농증)(↑) vs 정상부비동 (↓) X-ray



블로그 이미지

peterpani.com

한유석원장*소아청소년과전문의

,

아래그림(↓)은 기관지염(특히, 천식양상)이 왔을때의 과정과 기관지점막이 부은 모습을 보여줍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왼쪽의 기관지(↖)는 기관지의 벽이 부어있는 모습이고, 동시에 분비물(가래)이 생긴 천식성기관지염의 기관지모습입니다. 이에반해 우측의 기관지(↗)는 정상적인 모습입니다.

기관지점막이 붓게되면, 일단 (1) 기관지 직경(공기가 지나가는 직경)이 좁아지므로, 아가는 숨쉴때마다 색쌕거리거나, 숨찬듯이 헐떨거리는 모습을 보입니다. (2) 부어있는 기관지점막에서 끈끈한 분비물(가래)를 배출하게 되므로, 아가는 그러렁 그러렁 거리게 됩니다.

초기의 경구처방약, 흡입치료 등의 치료로 (1) 쌕쌕거리는 증상은 초기에 호전되더라도, (2)의 이미 생긴 기관지 분비물(가래)가 배출, 소실되는되는 1~2주정도의 시간이 걸리게 됩니다.


블로그 이미지

peterpani.com

한유석원장*소아청소년과전문의

,




쌕쌕거리는 소리는 특히, 아가의 수면중이나 가만히 있을 때에 좁아진 기관지에의한 숨소리로 천명음이라 합니다.

영유아 천식은 여러 원인에 의해 기관지가 좁아져서 반복되는 기침천명(쌕쌕거리는 숨소리), 호흡 곤란 등을 증상으로 합니다. 그러나 실제로, 특히 소아 천식환자에서는 다른 증상 없이 기침만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경우(기침형 천식)도 흔합니다. 



     통상적인 감기(기관지염)이 7~10일 이상가면 일단 의심해야 합니다.

소아 천식은 아기 때부터 자주 감기에 걸리다가 모세기관지염을 앓게 되고, 천식성 기관지염을 앓은 다음에 천식으로 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통상적인 감기로 시작하여 기침이 오래가고, 특히 새벽에 심한 기침을 하는 경우에는 천식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영유아 천식아가의 기관지는 정상인에 비해 매우 예민하여 자극을 받으면 기관지 근육이 수축되고, 염증으로 기관지 내 점막이 붓고 가래가 많이 생겨서 기관지가 좁아져 증상이 생깁니다.

일단 기관지가 예민해지면(`기관지 과반응성`이 생기면) 원인 알레르겐 외에도 운동, 차고 건조한 공기, 대기 오염,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특히, RS 바이러스) 같은 여러 자극에 의해 천식발작이 일어납니다. 특히 요즘과 같은 환절기(봄, 가을)에는 감기가 원인이 돼 심한 발작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특히, 2세 미만에서의 반복적인 쌕쌕거림은 영아천식으로 의심해야 합니다.

어린 아이의 천식에서는 감기를 비롯한 호흡기 감염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호흡기 바이러스 자체가 천식을 일으키거나 악화시키는 요인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생후 2살 미만에서는 호흡기 바이러스에 의해 천명을 동반한 기침을 일으키는 모세기관지염이 흔하고 천식과 구별이 힘듭니다.  모세기관지염이나 천명성 기관지염을 반복해서 앓는 경우에는 천식으로 이행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영유아는 호흡기의 구조적, 생리적 특수성으로 폐쇄성 기도 질환(기관지 직경이 좁아지는)이 호발하는 경향이 있는데, 어린 아이의 호흡기는 어른과 달리, 기관지 크기(직경)가 작고, 기관지 내에 점액선이 발달하여 성인보다 분비물이 많이 생기게 되고, 기관지가 조금만 좁아져도 심한 호흡곤란이 생기게 됩니다.



[Neb] 네뷸라이져(Nebulizer) 기계 구입을 권하는 이유는 ...

영유아 천식의 기관지 관리는 이렇게 하세요 ^**^
[그림] 영유아 천식자녀의 기관지 그림!!!

블로그 이미지

peterpani.com

한유석원장*소아청소년과전문의

,

풀미코트™는 국소 스테로이드인 부데소니드(budenoside 500mcg)성분의 흡입요법 약물입니다.  풀미코트™(풀미코트 레스퓰™;풀미칸™;부데코트™) 흡입액 상품명으로 처방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풀미코트™는 천식 발작으로 인한 기관지의 경련(수축), 염증에 의한 분비물(가래)에 탁월한 효과를 보이니다. 초기 용법으로는 보통 1개씩 2회(아침, 저녁 2차례) 흡입치료를 시작합니다.  

이후의 유지용량은 소아청소년과의사와 상의하여 감량하여 유지하면 됩니다.

그러나, 급성 천식 발작으로 쌕쌕거리며서 호흡곤란증상이 보이는 경우, 기관지 경련의 신속한 증상 개선에는 벤토린™ 흡입치료보다 효과가 늦으므로, 단독으로 풀미코트™ 흡입치료만을 하여선 곤란합니다

즉, 천식 증상의 악화 등과 같이 초기의 적극적 치료를 위해서는, 벤토린™ 흡입요법(2~6회/일) 풀미코트™(2회/일) 병합요법으로 시작하여야 합니다.

이후, 급성증상(쌕쌕거리는 호흡곤란,기침)의 증상이 호전된 경우에는, 기관지 점막부종으로 인한 점액성 가래감소를 위해선 1회/일의 풀미코트™ 흡입치료로 유지하면 됩니다.


풀미코트™ 흡입 요법은 경구 스테로이드 복용의
전신적 부작용(성장속도 저하)의 위험이 적으므로 매우 안전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흡입치료 요령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풀미코트™액을 잘 흔든 후, 제품 꼭지를 비틀어 떼어내세요.

2. 분무기(흡입치료기계)의 약품통에 짜 넣으십시오.

3. 구강 칸디다 염증예방을 위해, 흡입후 얼굴을 씻고 물로 구강을 세척하는 것이 좋습니다.

4. 매 분무시마다 흡입구와 안면마스크를 온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키십시오.


약품은 다음과 같이 보관
합니다.

1. 보관중에 침전물이 생성된 경우, 흔들어서 침전물이 없어지지 않으면 폐기해야 합니다.

2. 미개봉, 미사용 약물이라도 알루미늄 호일을 개봉한 상태에서는 3개월까지만 유효합니다.

3. 실온에서 보관합니다.


 

블로그 이미지

peterpani.com

한유석원장*소아청소년과전문의

,
영아 천식의 치료관리를 위해, 최대호기속도계를 집에서 사용하는 것은 마치, 고혈압환자의 혈압체크 또는 당뇨환자의 혈당관리에 해당합니다. 어찌 보면, 쉽고 간단하지만, 엄마아빠의 입장에서는 만성질병(!)을 이제부터 관리해야 하나되는게 아닌가하는 막연한 불안감(!)을 느끼기도 합니다.

그러나, 소아청소년의 천식은 어른의 천식과 달리, 급성악화만 잘 예방하고 관리만 한다면, 사춘기전후로 자연스럽게 호전되는 경우가 흔합니다. 그렇다고, 그냥 방치(!)해도 된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아래그림(↓)은 매일 아침과 저녁으로 최대호기속도계를 불어서 패턴을 보여주는 그림입니다. 평균적으로 500~550정도 유지되다가, 1주일동안(굵은 세로선이 하루입니다) 400으로 떨어진후, 이후에 5~6일동안 서서히 500대로 회복되는 과정을 보여줍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윗그림(↑)처럼 천식아가의 급성 증상은 보통 심해져서 고생하는 데 1주일정도 걸리고, 회복되는데 1주일정도 걸립니다. 물론 아가의 증상 및 치료반응이 개개인에 따라서 다르겠지요.

이런 2주동안에 가정에서 최대호기속도계를 수시로 사용하면서 기관지 반응을 체크하면서 흡입약제 및 기관지약을 꾸준히 복용한다면, 아마도 치료과정에 대한 불안감을 상당히 줄어들 것입니다.

아래그림(↓)은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그래프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아래PDF파일을 다운 받아 사용하시면 됩니다.

 


 


블로그 이미지

peterpani.com

한유석원장*소아청소년과전문의

,

영유아천식은 상기도 감염(비염,기관지염,편도염)등에 의해 악화되는 경우가 흔합니다. 

특히, 야간에 심해지므로, 부모로선 상당히 불안감을 느끼게 됩니다. 그러나, 영유아 천식은 성인형 천식과 달라, 적절히 관리하면 빨리 회복되므로 정상적인 생활을 하게 됩니다. 따라서, 부모님으로서는 충분한 지식으로 평소에 준비를 잘 한다면, 평상 생활에는 전혀 지장이 없습니다.   

호흡기 클리닉에서 많이 사용되는 모델입니다.




가정에서 천식 모니터링최대호기속도계로 측정합니다.
 
6세 이상 아이들은 가정에서 쉽게 입에 대고 '후욱' 불어서 간단히 테스트 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외출후에 갑작스럽게 기침을 발작적으로 하거나, 쌕쌕거린다면, 즉시 최대호기속도계를 사용하여, 폐기능을 간단히 확인하여, 초기에 흡입치료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최대호기속도는 기관지 직경이 넓은지? 좁아졌는지? 를 가리킵니다." 
최대호기속도계는 기관지에서 공기를 얼마나 빨리 내 쉴 수 있는가를 측정하여, 기관지의 직경(좁아진 정도)를 측정합니다. 기관지 점막이 붓게 되어 기관지 직경이 좁아지면, 당연히 최대호기속도 낮게 측정됩니다. 

최대호기속도계(Peak flow meter)이용하여 최대호기속도(Peak flow velocity)를 측정하여, 평소의 최고값(매일 아침에 3회 측정하여 최고값을 당일 기준값으로 합니다)를 기준으로 하여 비교하면 현재의 기관지 상태를 알 수 있습니다.

 아침과 저녁(하루 2회)에 측정하여 기록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허리를 곧게 세운 자세에서, 깊이 숨을 들이 마신 후, 최대호기속도계를 입술로 가볍게 물고(공기가 새지 않도록)후욱하며 빠른 속도로 몰아쉽니다.



블로그 이미지

peterpani.com

한유석원장*소아청소년과전문의

,

만5개월부터 시작해서 지금까지 3개월동안 꼬박 감기에 걸렸습니다. 하루도 약을 먹지 않은 날이 없습니다. 천식끼가 있다고 합니다. 첨엔 기침,가래가 심하고 쌕쌕거리는 소리가 났습니다. 요새도 찬바람 쐬면 가래가 가르랑 거립니다. 처방받은 벤트린, 풀미코트로 하루에 2번씩 흡입치료하고 있습니다. 잘 하고 있는 건가요?



영아천식의 범주에 해당합니다.

꾸준한 치료 및 관리가 필요합니다. 통상적으로 아이가 어리기때문에 처방약물의 복용으로 유지할 것인지? 흡입치료만으로 관리할 것인지 소아청소년과전문의와 치료계획을 세우는 편이 좋습니다.


네뷸라이져는 기관지약물을 에어로졸[미세분말]의 분자입자로 만들어 줍니다.


기관지약물을 기관지점막 및 허파에 직접 분사되므로 소량의 약물농도로도 효과가 빠릅니다. 또한, 약물이 전신순환하지 않고 소변을 통해 직접 배설되므로 전신적인 부작용이 적습니다. 특히, 호흡기 질환[천식, 기관지염, 후두염 등]등에 흔히 적용됩니다.  특히, 처방약을 먹이기 힘든 영유아효과가 좋습니다. 

흡입치료에 처방되는 약물은 기관지 확장제〔벤토린® 〕, 스테로이드 제제〔부데코트®, 풀미코트®〕, 비만 세포 안정제, 에피네프린® 등이 있습니다.


윗그림(↑)은 2세미만의 아가들이 흔히 흡입치료하는 모습입니다.


 

윗그림(↑)은 3~5세 아가들이 흔히 흡입치료하는 모습입니다.


 

윗그림(↑)은 흡입치료기계없이 사용되는 「Aerochamber스페이서」입니다.



 

블로그 이미지

peterpani.com

한유석원장*소아청소년과전문의

,
16개월인데 입냄새가 나거든요. 밥먹구나면 이빨두 닦아주고, 장이 안좋으면 입냄새가 난다는 소리를 들었어요. 하루에 한번씩 변도 꼬박싸구, 먹는것도 잘 먹거든요. 입냄새없애는 방법은 없나요?

건강한 아가도 입냄새가 나기도 합니다. 


아가 입냄새의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구강안이 건조할때, 특히, 입을 벌리고 숨을 쉴때 입냄새가 납니다. 코막힘이 자주 있을때 입을 벌리게 되고, 입안이 건조해지게 됩니다.

* 구강내 이물질(땅콩, 콩, 장난감)이 있을때 입냄새가 납니다. 1~2세 아가들은 손에 만지는 장난감을 콧구멍에 자주 넣습니다.

* 손가락 또는 공갈 젖꼭지를 수시로 빨때,  침과 구강내 세균으로 인해 입냄새가 납니다.

* 알러지 비염, 부비동염(축농증), 편도선염때문에 입냄새가 납니다.

* 우유를 잘게우는 위식도 역류가 있을 때도 입냄새가 납니다.

* 구강위생이 좋지않을 때,  구강내 정상 세균이 음식과 함께 입냄새가 납니다.

그럼 어떻게 관리해야 하나요? 
 
구강을 청결히 해야합니다. 식후 또는 취침 전에 아가 잇몸 또는 치아를 깨끗한 거즈로 닦아주세요.굳이 치약을 사용하지 않아도 됩니다.

손가락을 빤다면 손도 비누로 씻어주세요. 또한, 공갈 젖꼭지도 잘 닦고 씻어 말려야 합니다.

아가들이 뱉지 못하므로 가글링은 큰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블로그 이미지

peterpani.com

한유석원장*소아청소년과전문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