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개월 남아입니다. 낮잠잘때는 모르겠는데, 저녁에 수유하고 밤에 잠들때면 코를 골아요. 코에 코딱지 있나 살펴보면 깨끗한데요. 어떻게 해야 할까요?




놀래지 마세요.
감기 걸리거나, 코가 막힐 때 코를 골면서 잠에 듭니다. 편도가 큰 경우엔, 코를 골다가, 잠시 호흡을 멈추었다가 다시 코를 골기두 하구요. 큰 소리를 골면서, 밤에 여러 차례 깬다면, 이비인후과적인 진료가 필요합니다.   알러지 비염으로 코가 자주 막히면서 코고는 아가들 많습니다.


블로그 이미지

peterpani.com

한유석원장*소아청소년과전문의

,
간혹, 반응하는 것 같고, 때론 별 반응이 없어요. 울고 있을 때 딸랑이를 흔들면 잠시 멈추기는 하는데요. 말을 걸면 그냥 울어요. 소리에 조금 둔감한 건가요?

아가의 외부자극(특히, 소리)에 대한 반응은 개인적인 차이가 있습니다.

신생아는 웬만한 소리자극(전화벨소리, 개 짖는 소리)에도 불구하고 잘 자기도 하며, 반대로 아주 작은 소리(부스럭거리는 소리)에도 잠에 깨기도 합니다.


신생아 청력관찰은 아가가 깨어서 놀고 있을 때 살펴 보아야 합니다.

생후 3개월이 지나면, 머리근처에서 박수소리에 놀라거나, 또는 웃으면서 좋아합니다.

생후 4~6개월이 되면 시끄러운 소리방향으로 고개 돌려 쳐다보며 찡그리거나 웃습니다. 또한 소리 나는 딸랑이 장난감을 손에 쥐고 흔들면서 잘 놀게 됩니다.

생후 6~12개월이 되면, 아가이름을 부르면 알아 챕니다. 또한 진공청소기 소리를 좋아하기도 합니다. 

12개월(1세)이 가까우면, "우","이"의 단어를 재잘대면서 "지지(no)"를 이해합니다.


청력발달은 아가의 인지, 언어 발달 속도에 영향을 줍니다.

말이 늦은 경우, 간혹 청력저하에서 오는 경우가 있으므로, 청력 검사를 해보는 편이 좋습니다.


청력검사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습니다.

* 육아 환경이 오랜 기간 소음 (공항 인근, 공사장)에 영향을 받을 때

* 직계 가족(아빠, 엄마, 할아버지, 할머니, 이모, 고모) 중에 난청이 있을 때

* 출생 당시 산소 결핍 등의 이유로 신생아 중환자실 치료 받았을 때

* 임신 37주 이전에 조산으로 출생했을 때

* 임신 동안 풍진 감염되어 진료 받았을 때

* 신생아 중이염에 걸려 치료 받았을 때
블로그 이미지

peterpani.com

한유석원장*소아청소년과전문의

,
정말 2주전까지는 우리애같은애없다며, 소심하고 낯가리는건 좀 있지만, 말잘듣고 이쁜짓잘하고~ 밥잘먹고 잠잘자고 너무 예뻣어요. 근데 정말 애가 어쩜이렇게 갑자기 돌변할수있죠 ㅠ ㅠ
 
잘놀다가도 지맘대로안되면 던지고 때리고 ..악쓰고 울고 이럴땐 건들이지도말라 .. 안지도말라 .. 장난감을줘도안되고 조아하는음식, 아이들의대통령이라는 뽀로로 사탕 마이쭈 아무~것도 안먹힘..정말 도를지나칠정도..
 
배고르다며 밥달래서 밥주면1~2번먹고 안먹는다하고 졸리다면서 자자고하면 성질부리고 뽀로로안틀어주면 화내고 ..자기가 원하는게 없으면(쥬스,과자) 정말 뒤로 나자빠짐..말끼도 다 알아듣고 자기표현도 다할줄아는 아이가 이러니 정말 돌겠어요 ㅠ ㅠ


짜증/성깔(temper tantrum)
은 갑자기, 신경질적으로 떼쓰고, 울고 불고, 고집부리는 일시적인 행동을 가리킵니다.  한 번쯤 식당이나 쇼핑 마트매장에서 경험하게 됩니다. 그러나, 집에 돌아와서는 예전의 멀쩡한(온순한) 모습으로 돌아와서, 엄마/아빠를 헷갈리게 합니다.

이런 모습은 생후 2~3살 아가의 정상적인 모습입니다. 성격이 나빠질까 걱정을 많이 하지만, 이때의 성격이 굳혀지지는 않습니다. 단지, 아가의 이런 짜증을 좀더 원만하게 대처하기 위한 엄마아빠의 지혜가 필요하겠지요.

2세가 되면, 아가는 좀더 외부세계를 이해/접촉/표현하고 싶어합니다. 그러나, 충분한 표현이 되지 않아서, 스스로의 불만족을 표현하기 위해 짜증내고/떼쓰고/과격하고/폭팔하게 됩니다.


어떻게 대처해야 하나요?

 우선 침착하세요. 엄마아빠는 소리지르고, 떼쓰고, 발로 차고, 꼬집고, 바닥에 눕는 아가를 데리고, 밖으로 나가야 합니다.  

아가의 행동에 무관심한 척 하거나, 무서운 눈길로 억압적으로 대처하면, 아가는 더욱 폭발합니다. 장소와 사람을 바꾸어서 대응하세요.  환경이 바뀌면, 언제 그랬냐는 듯하게 조용해 집니다. 뭔가 변화를 바라는 신호라고 생각하세요.
 
 아가에게 신경질을 부리지 마세요.  공공장소에서 떼쓰면, 좀 더 빨리 아이를 데리고, 장소를 벗어나세요. 다른 사람의 시선에도 자연스럽게 대처하세요.아가에게 화풀이하면 곤란합니다. 아가는 이때부터 위축되기 시작합니다.
 
 집에 돌아와서 차분하게 말하세요. 집에 돌아왔을 때 아가와 마주 앉아서, 차분하게 원하는 게 뭔지, 어디가 불편한지 차근차근 들어주세요.  아가랑 엄마/아빠랑 약속을 하는 시간을 만들어 보세요. 아가는 잘 따라가게 됩니다.
 
 아가를 짜증나게 하는 상황을 피하세요.  어린이집 생활 후 돌아와서, 원하는 TV시청문제로 짜증이 많다면, TV보다는 책/장난감 놀이로 바꾸어 보세요. 당분간 만이라도, 아가를 자극하는 상황을 센스 있게 피하는 것도 요령입니다.


블로그 이미지

peterpani.com

한유석원장*소아청소년과전문의

,
2개월 여아입니다. 이상한 소리를 내며 웃고 있었습니다. 짧게 끅!끅!끅! 하며 입을 벌리고요. 요즘도 몇 일에 한번씩 웃곤 합니다. 다른 아이들은 배냇짓으로 미소만 짓는다고 하던데. 저희 아이도 배냇짓은 해요. 괜찮은가요?

엄마와 아가의 애착 관계가 잘 형성되면, 아가는 소리를 내어 웃으면서 감정을 표현하게 됩니다. 또한 우렁찬 울음소리로 자신의 생리적 욕구(기저귀 갈아 달라거나, 우유 달라거나)를 표현합니다. 
엄마-아가의 친밀한 감정 형성은 아가의 생리적 욕구 해결에서 시작됩니다.
엄마가 아가를 편안하고 돌보면, 아가-엄마와의 안정적 애착관계가 형성됩니다. 이런 애착관계는 아가의 인성발달에 매우 중요합니다.

아가는 엄마와 형성된 친밀한 신뢰관계(애착)를 바탕으로, 주변 사람과 엄마와 구별하게 됩니다.

즉, 아가는 자신의 생리적 욕구(배고픔,기저귀,심심함...)를 해결해주는 엄마를 향후 관계 형성의 기준점으로 삼게 됩니다. 생후2~6주가 지나면 낯선 사람보다 친근한 사람을 좋아합니다. 이때부터 타인(他人)가까이 오면 낯을 가리면서 유난히 힘차게 울게 됩니다.

아가의 감정 표현의 방법은 매우 다양합니다.

생후 한달된 아가는 짧은 소리를 내거나, 빤히 쳐다 보기도 하고, 유별나게 힘차게 울기 시작합니다.

부드러운 자극(소리)에 미소를 짓기도 하구요. 

또는, 가볍게 눈을 맞추며서, "꺼억" "끼익" 소리를 내기도 합니다.

생후 2개월이 되면 모음 소리("으", "어", "그윽")를 자주 내며,   3개월이 지나면, 주변 자극에 따라 기분 좋은  소리("히히익")를 내기도 하고, 혼자 좋아서 방실 웃습니다.

배냇짓은 잠들면서 흔히 보여주는 가벼운 미소입니다. 출생 직후, 수면 중, 잠이 들 때, 잠 깰 때의 짧은  미소를 띄우면서 엄마아빠를 기쁘게 하지요.


블로그 이미지

peterpani.com

한유석원장*소아청소년과전문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