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귤레어(Singulair)는 어떤 약인가요?
 
소아 천식, 계절성, 알러지성 비염증상 치료 및 조절약물입니다. 급성 천식 발작의 처방약은 아니지만, 최근 흔히 처방되고 있습니다.

6-14세: 1일 1회, 1회 1정(5mg)을 저녁에 씹어 복용하도록 한다.

초기의 약물 부작용은 과민반응(아나필락시스, 혈관부종, 가려움증, 두드러기), 수면장애 및 환각, 졸음, 과민, 공격적 행동을 포함한 격정, 불안정, 불면, 경련 발작 등이 드물게 보고 되었습니다.


싱귤레어는 어떨까요?

싱귤레어는
류코트리엔은 알레르기 반응에서 중요한 물질이다. 알레르기 반응에서 히스타민 보다 기관지 수축작용이 더 강하다. 이를 억제하면 알레르기 반응이 좋아질 것이라는 가정하에 약물이 개발되어 임상 연구를 끝내고 상품이 나오기 시작하고 있다.

원료명은 Montelukast, Zafirlukast, Panlukasst 와 Ziluton 이 있다.

Pranlukast(Onon™)은 일본에서 개발된 것이다. 당연히 미국의 FDA에서 승인을 받지 못하였다. 1세 이상에서 사용될 수 있고 가루약이 있다.

Montelukast(Singulair™) 은 미국에서 개발된 것입니다. 2세 이상에서 사용될 수 있고 하루 한번 먹습니다. 이후 가루약이 개발되어 1세 이상에서 허가를 받았다.

항류코트리엔제의 기전

위 표에 보이는 것이 아라키돈 산이 Cycloxygenase 에 의해 프로스타그란딘과 5-Lipoxygenase 에 의해 류코트리엔으로 대사되는 과정이다. Cycloxygenase는 아스피린과 인도메타신으로 억제되어 발열작용이 있는 프로스타그란딘 대사과정을 억제한다. 스테로이드는 Phospholipid가 아라키돈산으로 대사과정을 억제하여 염증작용을 줄인다. 류코트리엔 제는 오른쪽 대사과정에 관여한다. 5-Lypoxygenase 에 의해서 류코트리엔이 대사되면 이것인 류코트리엔 C, D, E4로 순차적으로 대사된다. 이를 Cysteyl Leukotriene 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류코트리엔이 폐의 호산구나 비반세포의 수용체에 작용하여 염증작용이 일어나게되는데 이를 억제하는 약이 류코트리엔 길항제이다. 이에는 수용체를 억제하는 Montelukast(Singulair™)과 Pranlukast(Onon™) 과 Zafirlukast(Accolate™) 이 있다.

우리나라에 아직 들어오지 않았지만 5-Lipoxygenase를 억제하는데 작용하는 Zileuton 이라는 약이 있다. 이외에도 개발되고 있는 약제로 Leukotriene B 수용체를 억제하는 LY-293,111 이라는 약물이 있으나 아직 허가받지 못하여 연구중에 있다.

류코트리엔의 발견

1938년 Feldberg 와 Kellaway는 Guinea-pia 에 cobra venom 의 화학반응물질을 확인하였다. 이 물질이 당시 알려진 히스타민과 달리 천천히 반응을 보이는 것을 확인한 후 이를 SRS(Slow Reacting Substance) 라 명하였다. 이러한 발견 후 이 물질이 천식 및 알레르기와 연관이 있을 것이라는 설명은 Schultz and Dale 에 의해서이다. 1950년대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서 SRS 가 기관지 수축물질이라는 것을 밝혀냈다. 정확한 연계고리를 확인한 사람은 1960년대 초 Brocklehurst 에 의합니다. 그는 SRS 에서 아나필락시스와 천식의 연결고리를 증명해 보였습니다.

1960년대에 들어와서 Slow reacting 물질중에서 Bradykinin 과의 차이를 두기위해서 Slow-reacting substance of anaphylaxia(SRS-A) 라 명명하기 시작하였습니다. 1970년대 후반에 들어와서 SRS-A 가 류코트리엔이라는 사실이 밝혀지었다. 이때 와트슨과 크릭(Watson and Crick)이 DNA 의 나선형 구조를 발표하였고, 이 발표는 여러 학문에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 1979년 Murphy, Hammarstrom and Samuelsson 이 SRS-A 의 구조를 밝혀내었다. 이 구조의 발표로 그는 노벨 의학상을 수상하였으며 이후 cysteinyl leukotriene 물질을 확인하는 새로운 창을 열은 것이다.

즉 시대를 분류하면 1940년대가 SRS-A 의 발견시대이고 1960년대는 생화학적 작용기전에 대해 이해가 넓어지었으며 60년대 후반부터는 면역, 세포학적 분류가 시도되고 1970년대에는 생화학적 구조를 완성하여 1970년대 말에 마지막 구조식을 이해하였다

천식 치료로서의 항류코트리엔제

기관지 확장효과, 천식 증상 감소, 폐 기능 호전, 기도 염증과 천식 악화 감소에 효과가 있다. 경증 지속성 천식환자에서 도움이 되며 아스피린 과민성 환자에서도 도움이 된다. 그러나 조절제로서 흡입용 스테로이드와 비교항ㅆ을 때 효과가 떨어진다. 추가요법으로 흡입용 스테로이드를 사용하면서 중등증 또는 중증 천식환자에서 스테로이드 용량을 줄일 수 있다. 추가요법으로 지속성 베타2 항진제와 비교하였을 때 효과가 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는 천식치료에서 소아에서 매력이 있는데, 천식과 감별하기 힘든 세기관지염의 증상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고 흡입치료를 하기 힘들어 하는 경증 지속성 환자에서 1차약으로 소아에서 사용가능하다는 점이다


블로그 이미지

peterpani.com

한유석원장*소아청소년과전문의

,

벤토린™ 흡입액[20cc;1병]은 살부타몰(기관지 확장제) 100 mg이 함유됩니다. 속효성 기관지 확장제로 흡입치료를 하게 되면, 쌕쌕거림과 거렁거렁의 증상이 호전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윗그림(↑)은 벤토린 원액입니다. 보통, 생리식염수 1.5~2cc를 희석해서 사용합니다. 벤토린원액을 생리식염수와 희석하는 용량은 아가의 체중과 영아천식,기관지염의 증상에 따라 약간씩 다릅니다. 


                 벤토린™  0.5 cc + 생리식염수 1.5 cc  
                       ↗                                                       
                30kg 이상                                                        
              ↗                                                                             
아가체중  → 15~30kg → 벤토린™  0.4 cc + 생리식염수 1.6 cc  → 희석액 2 cc
             ↘                                                                             
                15kg 이하                                                         
                       ↘                                                        

                벤토린™  0.3 cc + 생리식염수 1.7 cc  



최근에는, 이렇게 번거롭게(!) 희석하지 않고, 1회용으로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아래그림()과 같은 벤토린네뷸 2.5mg이 쉽게 처방되고 있습니다. 이는 벤토린™  0.5 mL과 생리식염수 1.5 cc가 희석되어 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벤토린™ 흡입치료 요령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우선 소아청소년과
전문의의 처방이 필요합니다. 어느정도 가정에서 아가의 증상에 따라 흡입치료 횟수를 조절하던 경험이 생기기 전까지는 전문의와의 치료계획 상담이 필요합니다.  

2. 
천식증상이 생겼을때, 즉, 쌕쌕거리거나, 가슴에 손바닥으로 살짝 만져볼때, 그러렁 거리는 가래소리가 느껴지면서, 밤새 잠을 못 자는 경우, 또는 가슴이 들썩거릴 정도로 호흡곤란이 있는 경우에는 우선 4~6시간 간격으로 하루에 3~4차례이상 흡입치료를 고려해야 합니다.

3. 
급성 지속성 천식발작의 경우, 30분간격으로 3 회이상 반복적으로 벤토린™ 흡입치료를 하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기관지 천식 증상은 호전되지만, 일시적인 두근거림,  빈맥, 어지럼증, 저칼륨혈증 등이 생기기도 합니다.

4. 
벤토린™흡입중, 용량 또는 사용횟수 증가가 필요하다고 생각되면, 이는 천식의 악화를 의미합니다. 전문의 진찰후에 다시 적절한 치료계획을 세워야 합니다.

5. 
풀미코트 또는 부데코트™와 동시에 섞어서 흡입치료하는 것보다는 벤토린™흡입치료를 1시간정도 먼저 한후에 이어서 하는 편이 바람직합니다. 
벤토린™흡입후의 기관지 확장효과를 기다린후(1시간 소요)에 풀미코트 또는 부데코트를 흡입하면 약물이 기관지내에 흡입이 효율적이기 때문입니다. 


벤토린™ (흡입액) 보관요령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어린이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하세요. 먹으면 복통, 설사를 일으킵니다.

2. 
일단 병을 개봉한 후 한달이 경과하면 내용물을 버리세요.

3. 
미개봉상태면 저장은 25℃이하 실온 보관하되, 36개월까지 사용가능합니다. 


블로그 이미지

peterpani.com

한유석원장*소아청소년과전문의

,

                   성장 클리닉 문진표-2

엄마가 체크하는 성장 클리닉 문진표-1

8. 아가의 수면 시간은 밤(     )시부터 아침(      )시 까지이며, 깊은 잠(Yes) 또는 얕은 잠(No)을 자는 편입니다.  ( Y / N )

* 성장호르몬은 깨어 있을 때보다 잠이 깊이 든 직후에 많이 분비됩니다. 소아기/청소년기에 가장 많이 분비되는 성장호르몬은 특히, 사춘기 중후반부터 파동형 분비곡선에서 분비폭이 커지면서 분비량이 급증하며, 청소년기 동안 최고가 되었다가 청소년기 후반을 기점으로 분비폭이 줄며 분비량도 적어진다.

9. 아가의 식사 습관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편식합니다.   (2) 조금씩 먹습니다.    (3) 골고루 먹으나 조금씩 먹습니다.
(4) 골고루 많이 먹습니다.

* 패스트푸드는 탄수화물과 단백질은 충분하지만, 비타민,무기질 등 필수 영양소는 부족합니다.
* 밥을 천천히 오래 씹어 먹여야 합니다. 주식 대신 간식을 많이 먹으면, 결국 총 섭취량은 줄어들게 됩니다.
* 식사시간과 놀이시간은 구분하도록 해야 합니다.

10. 아가는 평소 {(1) 몹시  (2) 보통 (3) 전혀 안 } 예민하여 쉽게 스트레스를 받습니다.

* 성장호르몬 분비는 스트레스, 운동, 수면, 영양(혈당), 체중의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지속적으로 스트레스를 많이 받거나, 비만인 아이들은 성장호르몬 분비가 줄어드는 반면, 규칙적으로 운동할 때나, 숙면을 취할 때는 증가합니다.


11. 아가는 자신의 키가 작은 것에 스트레스를 {(1) 몹시 (2) 약간 (3) 전혀 안} 받습니다.


* 2002년,설문조사에 의하면, 초.중.고교생의 남학생의 41.7%, 여학생의 56.5%는 불만족하다고 알려졌습니다. 이들의 이상형의 키는 남자는 181cm, 여자는 169cm으로 한국인(20세 성인) 남자,여자 평균 키보다 각각 8cm, 9cm가량 더 큽니다.

12. 과거 성장치료{ (1) 성장보조제  (2) 한약  (3) 타병원 }의 경험이 있다(Yes). 없다(No)

* 성장 보조제는 비타민무기질을 기본으로 생약성분을 함유한 제품, 단백질을 함유한 제품, 칼슘 제제의 3종류입니다.

* 영양제는 적게 먹고 편식하는 아이, 인스턴트식품을 많이 먹는 아이, 만성설사의 질병이 있는 아이, 결손가정의 아이, 항생제를 오래 먹는 아이, 채식위주의 식사를 하는 아이, 수술/골절 등으로 비타민, 무기질의 요구량이 많은 경우에 좋습니다.


13. 아가는 매일 규칙적인 운동을 대략(     )분 동안 한다(Yes). 안 한다.(No)

* 최소 1주일에 3회 이상, 땀이 맺히는 운동을 최소한 30분 이상해야 성장호르몬 분비효과가 있습니다.

* 줄넘기, 걷기, 스트레칭,매달리기, 조깅, 달리기, 농구, 배구처럼 점프가 많은 운동이 연골성장과 키 성장에 유익합니다.

14. 아가의 사춘기의 첫 증상이 만(     )살 때 있었습니다(Yes), 없다(No)

* 사춘기 초기(여자는 가슴이 나오고, 남자는 고환이 커지고)에도, 여전히 키가 작은 경우, 성장 클리닉 진료가 필요합니다.

* 여자 아이는 가슴이 나오기 시작했는데도 작으면 초등학교 4년 전후에, 남자 아이는 초등학교 6학년(중학교입학 전)까지는 성장클리닉 검사가 필요합니다.


15. 아가의 평균 성장속도는 (      )cm/년 이며,지난해 학교검진에서 키는 (     )cm 이다.

* 사춘기 끝나기 전의 아이로 매년 4cm 미만으로 자라는 경우, 몇 년사이 꾸준하던 키성장 속도가 갑자기 뚝 떨어진 경우엔 성장 클리닉 진료가 필요합니다.



 

블로그 이미지

peterpani.com

한유석원장*소아청소년과전문의

,

                   성장 클리닉 문진표-1

성명(Name): ___________   생년월일(Birth date):______년___월___일,(만____세)
키(Height):______cm (____퍼센타일),    체중(Weight) ______kg (_____퍼센타일)


1. 초등학교 (    )학년이며, 학급(    )명중에서 키순서로 (     ) 번째입니다.

* 수년 간 유치원, 초등학교에서 키가 작은 순서로 3~5번째 안에 해당하는 경우, 성장 클리닉 진료가 필요합니다. 

2. (만)(    )살부터 또래아이(유치원/초등학교)에 비해 작다고 느꼈습니다.

* 키 성장에 관심을 가져야 할 나이는 3~13세까지의 기간으로, 특히, 초등학교저학년 (1~4학년)에는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또래아이들에 비해 평균보다 10cm 정도 작으면 초등학교 입학 전에 성장클리닉 진료가 필요합니다.


3. 아버지(父)의 키 (        )cm, 체중 (      ) Kg이며, 만(      )세 경에 변성기가 오고, 턱수염이 났으며,  만(       )세 경에 키 성장이 끝났습니다.

* 가족들(부모)의 사춘기 시작연령은 자녀의 사춘기 시작연령과 비슷합니다.

* 체질적으로 늦게 자라는 아이들은 뼈나이가 실제나이보다 어리며, 외모가 또래보다 어려보이고, 2차 성징(사춘기 징후)가 또래보다 느립니다. 또한, 치아가 늦게 나고, 걷기나 말하기도 늦는 경향이 있으며, 운동 활동량이 많습니다. 부모,조부모,외조부모 등 가까운 가족 역시 늦게 자란 사람이 많습니다.

4. 어머니(母)의 키(      )cm, 체중(     )Kg이며, 만(      )세 경에 가슴이 나오고, 만(    )세 경에 초경을 시작하였고, 만(       )세 에 키 성장이 끝났습니다.

* 부모의 형질은 완전 유전한다고 할 때, 아들예상키 {(아빠키 + 엄마키)/2 + 6.5 }cm 이며, 예상키{(아빠키 + 엄마키)/2 - 6.5 }cm 입니다. 이는 남녀의 키차이는 13cm 가량이며, 오차 범위는 ± 10cm 입니다.
 
* 예측 성장키(Midparental Height)= (           )cm 입니다.

5. 아이의 형제자매, 조부모, 외조부모는 키가 큽니다(Yes)/작습니다(No) ( Y / N )

* 인종,종족,가계의 유전적 영향으로 키 성장의 차이가 있습니다. 키 성장변수의 75%가량은 유전적 형질의 영향으로 밝혀졌으나, 유전적 형질은 환경적인 (운동, 식단, 스트레스) 요인과 더불어 키 성장에 영향을 줍니다.
* 친가, 외가, 부모, 형제 등 모든 가족이 키가 아주 작은 경우 성장 클리닉진료가 필요합니다.

6. 출생 체중은 (       )kg, 임신 주수는 (      )개월이며, 임신동안 의학적 문제(Yes)는 밑줄과 같습니다. 또는 없었습니다(No). ( Y / N )

Yes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미숙아, 저체중 아가의 80%만 2~3세까지 따라잡기 성장(Catch-up growth)이 되지만, 나머지 20% 에서는 계속 키,몸무게가 작아서, 성인이 되어서도 키가 작을 가능성이 큽니다. 

7. 아이의 앓고 있는 만성질병은 다음(Yes)과 같습니다./ 없습니다(No)  ( Y / N )

Yes : 잦은 감염(폐렴, 중이염), 장염(설사), 변비, 아토피 피부염

기타: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감기, 기관지염, 설사, 장염을 자주 앓게 되면, 성장에 필요한 영양분의 섭취가 안되고, 질병과 싸우느라 에너지를 소비하게 됩니다. 또한, 질병으로 인해, 충분한 수면이 안되어서 성장호르몬의 분비가 줄어들게 됩니다.

엄마가 체크하는 성장 클리닉 문진표-2

블로그 이미지

peterpani.com

한유석원장*소아청소년과전문의

,

만5개월부터 시작해서 지금까지 3개월동안 꼬박 감기에 걸렸습니다. 하루도 약을 먹지 않은 날이 없습니다. 천식끼가 있다고 합니다. 첨엔 기침,가래가 심하고 쌕쌕거리는 소리가 났습니다. 요새도 찬바람 쐬면 가래가 가르랑 거립니다. 처방받은 벤트린, 풀미코트로 하루에 2번씩 흡입치료하고 있습니다. 잘 하고 있는 건가요?



영아천식의 범주에 해당합니다.

꾸준한 치료 및 관리가 필요합니다. 통상적으로 아이가 어리기때문에 처방약물의 복용으로 유지할 것인지? 흡입치료만으로 관리할 것인지 소아청소년과전문의와 치료계획을 세우는 편이 좋습니다.


네뷸라이져는 기관지약물을 에어로졸[미세분말]의 분자입자로 만들어 줍니다.


기관지약물을 기관지점막 및 허파에 직접 분사되므로 소량의 약물농도로도 효과가 빠릅니다. 또한, 약물이 전신순환하지 않고 소변을 통해 직접 배설되므로 전신적인 부작용이 적습니다. 특히, 호흡기 질환[천식, 기관지염, 후두염 등]등에 흔히 적용됩니다.  특히, 처방약을 먹이기 힘든 영유아효과가 좋습니다. 

흡입치료에 처방되는 약물은 기관지 확장제〔벤토린® 〕, 스테로이드 제제〔부데코트®, 풀미코트®〕, 비만 세포 안정제, 에피네프린® 등이 있습니다.


윗그림(↑)은 2세미만의 아가들이 흔히 흡입치료하는 모습입니다.


 

윗그림(↑)은 3~5세 아가들이 흔히 흡입치료하는 모습입니다.


 

윗그림(↑)은 흡입치료기계없이 사용되는 「Aerochamber스페이서」입니다.



 

블로그 이미지

peterpani.com

한유석원장*소아청소년과전문의

,

17개월아들입니다. 장염이 심해 병원에 다니구 있어요. 약을 억지로 먹이니 바로 토하네요. 분유나 요구르트에 섞여 먹여도 토하네요. 먹는 양에 비해 배가 너무 볼록하고, 배에 가스가 많이 찬거 같아요. 이온음료를 먹여도 될까요?

2세미만에서는 게토레이®(이온음료)는 그리 권하지 않습니다.  왜냐면, 당분(설탕물)이 너무 높기때문입니다. 오히려, 높은 당분은 위장에서 흡수되기보다는 오히려 체내수분을 삼투압현상으로 배출시키는 역효과(!)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즉, 오히려 설사를 더욱 악화시킬 수도 있습니다. 


윗그림(↑)의 식품영양표는 게토레이® 1캔(300cc)에 포함된 28g의 당분(설탕성분), 280mg의 나트륨(Na 염분 전해질)이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보통, 먹는 전해질 용액(ORS;oral rehydration solution)으로는 윗그림(↑)의 페디라산®, 에레드롤®을 흔히 처방합니다. 이때, 1포(봉지)[물200cc에 희석해서 먹입니다]에는 5g의 당분(설탕성분), 580mg의 나트륨(Na 염분 전해질)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용량은 아가의 설사로 인한 수분 및 전해질이 효과적으로 보충되기 위한 이상적인 배합(!)입니다.

대충 보더라도, 게토레이®(이온음료)의 당분은 4~5배 정도 많고, 전해질은 1/2정도로 적게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바꾸어 말하면, 게토레이®는 페디라산®, 에레드롤®보다 소금기가 적으므로 짜지 않고, 당분이 높아 단맛이 나므로 아가들이 좋아합니다.

반면에, 페디라산®, 에레드롤®의 전해질 용액은 소금기가 많아서, 텁텁하고 짠맛이 나므로 아가들이 좋아하지 않습니다.

    어떻게하면 될까요?

 페디라산®, 에레드롤®의 전해질용액에 아가가 좋아하는 과일즙(포도쥬스, 오렌지 쥬스)을 살짝 섞어(2~3스푼정도) 첨가하면 그나마 잘 먹습니다. 짠맛이 과일맛에 희석이 되기때문이지요.

게토레이® 에 정수기물을 1.5~2배정도 첨가희석해서 먹이면, 높은 농도의 당분으로 인한 설사를 줄이면서 아가에게 수분공급하여 탈수를 예방 및 보충할 수 있습니다.       

블로그 이미지

peterpani.com

한유석원장*소아청소년과전문의

,



사용자 삽입 이미지




설사하는 아가의 식단은


구토, 설사로 고생하는 아가를 위한 식단은 엄마아빠의 요리능력, 아가의 기호(편식 성향)를 고려해야 합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장점막의 회복을 촉진하고, 조기에 충분한 단백질 및 열량을 보충하도록 식단을 준비해야 합니다.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설사증상의 아가에게는 감자, 고구마, 쌀밥(쌀죽,쌀미음:곡류성분), 식빵 등의 복합탄수화물 식단과 흡수가 잘되는 1/2~1/3로 희석된 사과쥬스, 바나나, 곶감,홍시 섭취를 권장합니다.

단당류가 많이 함유된 음료(탄산음료), 이온음료(포카리스웨트, 게토레이)는 제한해야 합니다. 되도록이면, 과일쥬스도 1/2~1/3로 희석해서 먹이도록 하면 좋습니다. 왜냐면, 음료속의 높은 당분은 오히려 소장,대장에서 삼투압성 설사를 일으키기때문입니다.

유산균(lactobacilli)이 많이 포함된 요구르트 소화분해 효소가 많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설사 증상에 좋습니다.

숙성된 치즈(Chedar, Swiss)는 가공된 치즈보다 설사증사에 좋습니다. 지방 함량이 높은 음식이므로 위장내에 머무르는 시간이 길어 소장에 천천히 도달하므로, 지방이 많은 식단(아이스크림, 생우유)가 도움이 됩니다.

반면에, 기름(식용유)에 튀긴(조리한) 음식(피자, 치킨, 도너츠, 튀김종류), 당분이 높은 쥬스, 탄산음료 같은 단당류 음식은 피하는 편이 좋습니다.

블로그 이미지

peterpani.com

한유석원장*소아청소년과전문의

,

이제 8개월이 넘었습니다. 철분이 부족하다고 하는데, 이유식으로 어떤 것이 철분이 많이 들어 있나요? 요즘은 멸치, 다시마, 양파육수에다 이유식을 해주고 있거든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철분 결핍성 빈혈을 예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미숙아 또는 저체중아로 출생한 경우, 초기에 철분보충을 해주는 편이 좋습니다. 

 되도록 1세이후에 생우유를 먹이세요. 

 철분이 많이 함유된 이유식을 먹이세요. 살코기(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생선, 쌀밥, 빵, 녹색채소, 계란, 콩 등에 철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위장에서 철분의 흡수를 촉진하는 비타민 C가 많이 함유된 과일, 채소를 많이 먹이세요.

식단에 따른 철분의 함유량은 다음과 같습니다.

음식속의 철분의 함량(gram/100mg)은 다음과 같습니다.

식품명

철분양

식품명

철분양

식품명

철분양

식품명

철분양

흰 밥

0.2

식 빵

1.2

옥수수

2.0

5.0

찹 쌀

1.3

들 깨

7.5

2.0

은 행

1.0

4.7

참 깨

16.0

감 자

1.4

버 터

2.2

식물유

2.1

비 지

4.6

완 두

1.6

5.2

땅 콩

1.9

3.0

고등어

1.6

3.7

굴 비

14.4

멸 치

5.8

대 합

15.6

맛 살

11.0

명란젓

1.4

새 우

1.5

연 어

3.0

오징어

0.9

전 복

2.0

참 치

2.0

갈 치

1.6

쇠 간

10.1

닭고기

1.2

쇠고기

2.0

쏘시지

1.9

노른자

6.5

우 유

0.1

요구르트

0.1

당 근

1.6

토마토

0.6

시금치

2.6

양배추

0.3

양 파

0.1

오 이

0.2

호 박

4.1

양송이

0.6

17.6

물미역

1.0

0.1

표고버섯

4.0

0.3

0.2

사 과

0.5

돼지고기

1.6

참 외

0.3

포 도

0.5


블로그 이미지

peterpani.com

한유석원장*소아청소년과전문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