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른이 잠드는 과정은 이러합니다. 

아마도 잠옷이나 츄리닝상태에서 저녁 느즈막한 시간에 다양한 「휴식활동」을 하면서 긴장을 풀고 느긋해집니다.  소파나 편안한 침대에서 책을 읽는다거나, 음악을 듣는다거나, TV를 시청한다거나, 부부관계(!) 등의 「휴식활동」을 하면서 서서히 졸리움을 느끼게 됩니다.

이때부터 대뇌의 피질의 신경세포[컴퓨터의 CPU에 해당하는]에서 신체기능을 「절전모드」로 바꾸어 충분히 쉬게 만들어 줍니다. 즉, 이때의 「절전모드」를 NONREM수면단계라고 합니다. 뇌신경의 활동과 신체활동은 최소한의 기능만 남겨둔채 잠들어 버립니다. 흔들어도 깨어나지 않고, 호흡과 맥박도 느려지면서 신체에너지 절약모드가 됩니다. 근육의 힘이 빠진 상태로 외부 자극에 대한 반응도 최소화되는 깊은 잠에 빠집니다.




이시기의 「절전모드」는 보통 1~1.5시간 정도 지속되다가, 대뇌피질의 신경세포가 일부 기능을 시작되는 REM수면단계가 됩니다.  즉, NONREM수면단계에서 휴식을 취하고 있던 대뇌피질 신경세포들이 부분적으로 깨어나, 일부 기능이 작동되는 단계인 「화면보호기모드」로 전환이 됩니다.

대뇌기능이 부분적으로 활동하므로, 눈꺼풀아래 눈동자는 움찔거립니다. 이러한 현상의 시기를  Rapid EyeBall Movement(REM)수면단계라고 합니다. 이때는 꿈을 꾸기도 하고, 온몸을 뒤척이면서 부시럭 거리기도 하고, 이불을 걷어 차기도 하고, 흘러내린 이불을 손으로 끌어 댕겨서 따뜻하게 덥기도 합니다.

이시기에, 방광에 소변이 가득한 느낌이 들면, 대뇌피질의 신경세포[화면보호기 모드의 CPU]에서 '일어나서 화장실로 가서 소변을 보세요'라는 명령을 내리면, 깨어나서 화장실에 다녀온후 다시 잠자리에 들기도 합니다. 즉, 얕은 잠을 자고 있는 상태입니다.

즉, 수면상태이긴 하지만, 어느 정도의 신체유지활동이 가능하도록 CPU를 살짝 켜 놓은 셈이지요. 

일반적으로, 8시간 수면시간 동안 『 REM수면↔NONREM수면』의 전환이 1~1.5시간 간격으로 2~4차례 반복됩니다. 평균 6시간의 깊은 잠(NOMREM수면)와 2시간의 얕은 잠(REM수면)을 잡니다.

'아주 깊은 잠을 오래 잤어요'라고 할지라도, 일정 시간동안은 꿈도 꾸는 얕은 잠을 자는 것입니다.

[좋은 수면 습관] - REM수면 vs. NONREM수면




블로그 이미지

peterpani.com

한유석원장*소아청소년과전문의

,

【아가들의 수면에 관해 초보 아빠엄마가 한번쯤(!)은 들어봤음직한 내용을 정리해봤습니다.】

아가들의 잠드는 과정은 어떨까요?

낮에 열심히 놀다가, 이제 저녁이 되어 어두어 지니, 아가는 졸리운지 칭얼댑니다.

이때부터, 엄마아빠가 번갈아서 아가를 업고, 안고, 거실을 왔다갔다 합니다. 수유를 좀더 해서 졸리게 합니다. 아가의 팔과 다리의 힘이 빠지고 눈꺼풀이 무거워지며서 눈이 스르르 감기기 시작합니다.

그러나, 아가의 눈꺼풀이 '파르르' 떨거나, '움찔~움찔'하는 모습은 살짝 보입니다. 또, '푸우'하면서 거칠게 숨을 몰아 쉽니다. 아가의 손과 팔은 약간 구부정한 모습으로, 살짝 건드리면 놀라듯이 '움찔'하기도 합니다. 손을 꽉 쥐기도 합니다.

꿈을 꾸는 지 '씨익~'하고 혼자 웃는 것처럼 미소를 짓기도 합니다. 그러다가, 다시 입술을 '쪽~쪽~' 거리면서 입술을 '웅얼~웅얼~'거립니다.

이젠 제법 잠이 들어다 싶어서, 엄마아빠는 아가를 잠자리 이불에 내려 놓고, 등을 돌리려는 순간에 아가는 깨어나서 울기시작합니다. 




이때 아가는 왜 울까요?

이유는 하나입니다. 아이가 「완전히 잠들지 않았기때문」입니다. 

아가를 내려놓으려고 했을때는 「NONREM수면단계」의 얕은 수면(1~2단계)였습니다. 

아가가 운다고 다시 잠에서 깨어난 것이 아니라, 완전히 깊은 잠에 이르기 전단계이기때문에 아까와 같은 방법으로 조금만 더 시간을 투자(!)해서 20~30분가량 더 달래주어야 합니다.

이때쯤되면, 아가의 '씨익~' 웃는 미소, '움찔~'거리는 모습도 사라집니다. 아가의 가쁘게 몰아쉬는 숨도 없어지고 규칙적으로 천천히 숨을 쉬게 됩니다. 아가의 손과 발은 완전히 이완되어 축 늘어져 있게 됩니다. 아가의 주먹쥔 손은 펴집니다.

비로소, 아가는 「NONREM수면단계」의 깊은 수면(3~4단계)에 도달한 것입니다. 아가를 잠자리에 놓아도 아가는 '쿨~쿨~' 잠을 잘 자게 됩니다.

 

블로그 이미지

peterpani.com

한유석원장*소아청소년과전문의

,
생후45일 아가인데요.낮에 한두차례는 젖을 먹고 모빌을 쳐다보면서 놀곤합니다. 그런데, 밤에도 잠을 잘 자지 않아서 걱정이 되는데요. 저녁 9시에서 새벽 1~2시 정도 까지는 잠을 자지 못하고 울고 보챕니다. 젖을 줘서 잠을 재우려고해도 자나 싶어서 뉘우면 10분정도 누워있다가 울곤 합니다.(참고로 모유를 1시간 30분에서 2시간 간격으로 먹이고 있습니다)

생후2~3개월이 되면, 아가들은 낮잠을 포함하여 하루 12~15 시간을 잠을 잡니다.  일부의 아가는 스스로의 수면 및 각성리듬을 가지게 됩니다. 즉, 어는 정도 자는 시간과 노는 시간을 구별하게 됩니다.

아직도 잠자는 시간이 많습니다. 첫 주 동안에는 하루 14~18 시간은 잠에 빠집니다. 생후1개월이 되면, 하루 12~16 시간으로 깨어있는 시간이 늘어납니다.

밤에는 수시로 깹니다. 엄마아빠를 알아보며, 수시로 깨어서 엄마아빠를 찾기 시작합니다.  목을 가누고, 뒤척이면서 밤낮없이 뒤척인다. 보통 2~4시간 간격으로 수시로 깹니다.  REM(Rapid eyeball movement)수면이 활발한 시기입니다. 가벼운(얕은) 수면시기인, Rapid Eyeball Movement(REM)수면시기가 많아서, 사소한 자극에도 자주 깨며, 깨다가 자기를 반복합니다.

생후 6~8주경이 지나면, 낮에는 덜 자고, 밤엔 좀더 잠들게 됩니다. 의외로, 밤낮을 일찍 구별하는 아가들이 있기도 합니다. 낮에는 먹고 나서도 주변을 두리번 거리며 좀더 깨어서 놀려고 하고, 밤에는 금방 먹다가 쉽게 잠들게 됩니다.


블로그 이미지

peterpani.com

한유석원장*소아청소년과전문의

,
생후 6주된 여아입니다. 완전 모유 수유입니다. 아가가 잘 자긴 하는데, 모유수유 중이라 그런지 젖을 물고 잠을 자요. 그런데 젖을 물고 잠든 후 한참 되어서 젖을 빼면 금방 잠이 깨서 젖을 찾습니다. 깊이 못 자는 같기도 하고 괜찮은가요?

아가는 많은 시간 잠을 잡니다.  신생아는 첫 주엔 하루 14~18 시간을 잡니다. 생후 1개월이 되면, 12~16시간을 잡니다. 연속으로 2~4시간이상 자지 않습니다. 또한 2~3시간 이상 깨어있지도 않습니다다. 수시로 자다가 깨는 리듬의 반복입니다.


아가의 수면시간과 수유시간이 대개 일치합니다.  수유하다가 잠드는 모습은 매우 흔하고 자연스런 모습입니다.  아가수면 주기는 어른보다 짧아서, 수시로 잠에서 깨게 됩니다.  아가는 수면리듬중에서 REM(Rapid Eyeball Movement) 수면시간이 많기 때문에 얕은 잠을 자게 되므로 수시로 자주 깹니다.


블로그 이미지

peterpani.com

한유석원장*소아청소년과전문의

,
6개월 모유수유 여아입니다. 밤 11시~12시에 잠이 들어서 새벽에 한두 번 젖 먹고 아침 8시쯤 깹니다. 자다가 깨면 젖을 물려 재우는데 괜찮나요?

모유는 위장에서 소화 및 흡수가 빠르므로 쉽게 배고파서 밤에 자주 깹니다. 보통 분유수유 아가보다  밤에 자주 깹니다.
그러나, 6개월이 되면, 주간의 섭취량이 충분히 증가하므로 야간수유 없이 5~6시간 연달아 잠을 잘 수 있게 됩니다.

야간 수유를 줄이는 방법은 매우 간단합니다.

 재우기 전에 배불리 먹입니다.

 차츰 수유간격을 늘려야 합니다.

 젖병을 물려서 재우는 습관을 줄여야 합니다.


4~6개월부턴 잠투정을 시작합니다. 
이때부터 아가 수면 환경에 대한 관심이 필요합니다. 아가는 REM(Rapid eyeball movement, 얕은 잠)수면이 많기 때문에 자주 깹니다.  자주 깨더라도 스스로 달래서 잠이 들 수 있는 습관을 만들어 주는 것이 좋습니다.

* 자장가 들려주거나, 토닥거려주고, 책 읽기 등 통해 반복적인 수면 유도 환경을 만들어 주세요.

* 재운 상태가 아닌, 깨어있는(졸린) 상황에서 잠자리로 옮기는 게 중요합니다.


아가를 재우는 방법은 크게 2가지가 있습니다.

 혼자 (울려서) 재우는 방법(CIO,Cry it out): 아가를 잠자리에 눕힌 후 자리를 떠나세요. 울면서 떼써도 정해진 시간(첫날 1분, 둘째 날 2분, 셋째 날 3분) 동안 밖에서 기다리세요. 정해진 시간 후에,다시 아가 잠자리로 돌아 오세요.

이때부터 안아 주거나, 먹이지 말고, 부드러운 목소리로만 달래주세요. 되도록 스킨쉽을 줄이고, 아가가 스스로 잠들도록 기다리는 방법입니다.

보통, 1주일이 지나면, 아가는 '울어도 소용없다'는 것을 알고 스스로 잠이 들게 됩니다.

 울리지 않고 달래서 재우는 방법(NC,No cry):  아가를 졸릴 때, 안아주고, 먹여주고, 다독거려서 재우는 일반적인 방법입니다. 많은 엄마아빠가 일반적으로 재우는 방법입니다.


블로그 이미지

peterpani.com

한유석원장*소아청소년과전문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