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살 남자입니다. 밝고 인사성도 바르고 해서 동네 어르신들이나 또래 엄마들이 ‘아이 성격 좋다’고 칭찬을 많이 합니다. 그런데, 울 아이는 남의 일에 참견을 많이 하는 편입니다. 

예를 들어, 선생님께서 줄넘기 그만하고 갖다 놔라 해도, 하는 몇 아이들에게 ‘그만하고 갖다 놓으라’고 말할 때도 있고, 자기가 정리를 할때도 있고요. 그럼 상대방은 기분이 나빠지고 ‘자기가 정리할걸 왜 니가 참견이냐’ 말하면서 싸움이 납니다. 우리 아이는 선생님 힘들까봐 자기가 한거라 생각만하지 잘못됐다 생각을 안하니, 기분나쁜 친구가 모라고 하면 같이 또 티격태격 하게됩니다. 

반 엄마들 중 아이가 집에 가서 이런 일이 있었어 하고 얘기를 하게 되니 저희 아이는 ‘참견을 하는 아이, 성격이 강한 아이’라고 생각을 하고 싸움이 일어나도 무조건 울 아이가 잘못한거라 단정지어 말을 합니다. 저희 아이가 거짓말 하는 아이도 아니고, 먼저 때리는 애는 아니지만 참견을 좋아하고 목소리가 큰 걸 알고는 있습니다. 

그런데 그런걸로 단정지어 우리아이가 잘못했다고 자기 자식 말만 믿고, 말을 하니 너무 속이 상합니다. 선생님 우리 아이 남의 일에 참견을 좋아 하고 강하게 말하는 걸 어떻게 고칠수 있을까요? 알아듣게 말을 하지만 고쳐지질 않네요. 너무 속상합니다 ㅠㅠ 도와주세요.

8세이하(특히,남자)는 상황에 맞는 참을성을 체득하기까지 시간이 걸립니다. 이시기는 아직 충동적이므로  “잠시만 기다려~" 란 말을 금세 까먹고 참지 못하고 참견합니다. 고지식하고, 급한 성격의 아이들이 유난히 그러합니다.   

참견(간섭)은 ‘대장놀이'의 간접 표현입니다. 약간의 다툼있더라도 관심과 주도권을 얻기 위한 무의식적인 의도가 있는셈이지요. 다수의 부모는 자녀가 또래친구에 묻혀 끌려다니는 ‘평범,순종형’보다는, 두각을 나타내는 ‘‘리더형’ 자녀를 원하지요. 이러한 무의식적 사회분위기속에서의  ‘참견하는 아이'는 그리 부정적인 모습만은 아닌셈이지요.

가정에서의 대화습관을 살펴보세요. 8세(초등1~2년)가 되면, 선생님(학교,학원) 지시(말씀)이 끝날때까지 기다립니다. 반면에, 가정에서는 부모님의 말을 중간에 끊고, 참견합니다. 아빠가 일마치고 귀가할때, 기다리던 자녀와 부인은 경쟁적으로 참았던 대화 보따리를 풀기 시작할때, ‘참견’과 ‘대화중간에 끼여들기’가 생깁니다. 아가는 부모의 대화 주제가 순식간에 바뀌는 것을 따라잡지 못하고, 말꼬리를 잡거나, 귀찮게 참견하는 모습이 되기도 하지요.  

역활놀이(순서를 기다리는)을 해보세요.  아이가 참견할 만한 상황을 집에서 역활놀이로 연습해보세요. 충분한 시간적인 여유가 있을 때가 좋습니다. 상대방의 의견을 끝까지 들는 습관을 만들어 주어야 하기때문이지요. 참견을 당하는 역활을 시켜보세요. 확실히 도움이 됩니다.  

농담과 익살스런 분위기 가르켜보세요. 참견으로 인한 긴장을 해소하고, 대화의 스킬을 업그레이드 시키기때문입니다. 성격이 급한 아이가 유머감각, 여유, 느긋함을 느끼면, 자연스레 참견하는 것도 줄겠지요.   

참견하는 버릇은 오래가지 않습니다.  아이가 성장하여, 단짝 친구가 생기면서 사라지게 됩니다. 


블로그 이미지

peterpani.com

한유석원장*소아청소년과전문의

,
사용자 삽입 이미지

ADHD자녀는 규칙적인 학교생활에 적응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또한, 숙제 또한 어렵구요.

학교생활 및 숙제에 도움을 주는 몇가지 요령은 다음과 같습니다.

1.학교생활 적응을 위한 생활지도는 매우 어렵습니다.

특히, 개학전후로 부모와 자녀의 스트레스는 극에 다다릅니다. 최소한 개학 2주전부터는 저녁에 일찍 잠자리에 들도록, 다음날 아침에 일찍 일어나기 시작하여야 합니다.

2.자녀가 생각하지 못하는 부모만의 계획(!)이 있어야 합니다.

보통, ADHD자녀는 자신의 행동에 대한 부모의 반응을 예상하고, 그에 대한 해석을 하면서(부모보다 때론 눈치가 빠릅니다), 부모을 낙담시키기도 합니다. 따라서, 자녀가 미처 생각지도 못한 예상외의 계획을 준비하여야 합니다.
 
3."개인 다이어리"를 가지고 다니면서, 기록하도록 해주세요.

방과후 학원, 체육수업, 미술수업에 관한 메모를 다이어리에 기록하도록 해주세요. 간편한 '포스트잇(Postit)'이 좋습니다. 수시로 오늘 일정을 상기시켜 주어야 합니다.

4. ADHD자녀에게 숙제는 커다란 부담(!)입니다.

선생님의 숙제를 받아적지 못하거나, 숙제노트를 학교에 두고 오는 경우가 부지기수입니다. 담임선생님에게 반드시 부탁하는 편이 좋습니다. ADHD자녀를 위한 조그만 배려가 방과후 집에서 숙제를 잊지않고 하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되도록이면, 하루 숙제를 마쳤을 때는 적당한 보상(!)[칭찬,격려, 정해진 시간의 휴식,TV시청,게임...]이 필요합니다. 그렇지 않고선, 유지하기가 힘들지요.

5.아무리 어색하고 속상해도, 학교에서는 ADHD자녀의 편을 들어주세요.

역설적으로 들리지만, ADHD자녀가 학교생활의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적극적인 의사를 담임선생님에게 설명해 주세요.(사실 쉽지 않은 일이지요...)

학교에서는 부모님이 마치 가해자나 죄인(!)으로 비춰보일 수 있지만, 솔직하게 ADHD자녀의 잘하는 점과, 교우관계에서의 어려운 점에 대한 지원을 요청하세요.

결과적으론, 다수의 급우를 위하는 일이기도 하기때문입니다.
6. 작은 '스티커북'을 만들어 주세요.

매일 생활하면서, 칭찬받아야 할일, 혼나야 할일을 기록한 작은 스티커북으로 '매일' 기록하세요.
메모란에 '일과중'있었던 특별한 일을 기록하면 더욱 좋구요.

7.칭찬과 자신감이야 말로 가장 최선입니다.

아무리 사소한 행동이라도 긍적적인 표현과 자주 칭찬을 해주세요.



블로그 이미지

peterpani.com

한유석원장*소아청소년과전문의

,

 CDI 우울 심리검사    초등~중등  우울,스트레스,불안
 문장 완성 심리검사(SCT)-1  초등~중등  우울,스트레스,불안
 문장 완성 심리검사(SCT)-2  초등~중등     우울,스트레스,불안
 성인형 문장완성 심리검사    성인  우울,스트레스,불안
 인물화에 의한 간편지능검사
 동적 가족 인물화 검사
 3~7세  지능지수(IQ),감성지수(EQ)
 투사 심리 검사
 ADHD 기초심리검사  엄마/교사  ADHD (부모/교사)
 ADHD 심리검사(CASS)    초등~중등         ADHD (자녀)
 CARS 아동기 자폐증 검사   2~7세  늦은 언어, 행동 발달
 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
  (K-CBCL)
  4~17세  학교생활,적응,사회성

블로그 이미지

peterpani.com

한유석원장*소아청소년과전문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