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후 6개월이 지나고, 7개월째 들어온지 일주일정도 지났는데요. 이유식을 하고 있는데, 감자, 당근, 브로콜리,소고기,계란노른자 이렇게 주고 있거든요. 가끔 양파도 넣어 주고요.  그런데, 이유식 먹이면서 치즈를 조금씩 넣어줘도 되는지요?


생후 7~9개월 정도가 되면 손가락(마디)만큼의 치즈덩어리는 아가가 오물오물 거리면서 씹을 수 있습니다.  알러지의 증상들(입술, 혀, 얼굴이 붓고, 쌕쌕거리거나, 배가 아픈지 유난히 보챌때, 토하고 설사를 할때)는 12개월까지 보류(!)함이 좋습니다. 동시에 이런 알러지 증상이 있다면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진찰이 도움이 됩니다.

모짜렐라(희고 부드러운 이탈리아 치즈), 체더 치즈(영국산의 노란색), 빵위에 바르는 얇은 치즈 등이 좋습니다.

숙성된 성분의 부드러운 치즈들. 예를 들면, 페타치즈(양,염소 젖으로 만든 희색의 부드러운 그리스 치즈), 브리치즈(프랑스산 희고 부드러운 치즈), 스페인, 멕시코 치즈(queso blanco)는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들 치즈는 숙성되는 과정에서 리스테리아 등의 세균이 숨어 있어, 영유아 감염의 가능성(!)이 있다고 합니다. 


블로그 이미지

peterpani.com

한유석원장*소아청소년과전문의

,
4개월된 남자아기인데 2~3주전부터 저녁부터 자정까지 보채듯 울어요. 방귀도 많이 뀌고, 가스도 많이 차 나봐요. 다리에 힘을 주고 그래요. 왜 보채나요?

흔히 울고 보채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배가 고프다; 가장 흔합니다.

 기저귀가 젖었을때.

 더워서 땀을 흘리는 경우; 잠자리가 불편한 경우입니다.

 돌봐주는 환경이 불안정 될 때; 양육하는 사람이 자주 바뀔 때, 익숙하지 않을 때 보챕니다.


영아산통의 경우이기도 합니다.  영아산통은 신체적으로 건강한 아가에게 일시적으로 관찰되는 현상에 대한 용어입니다.

생후 1~4개월 경에 주체하지 못할 정도로 심하게 울며 보채는 경우를 가리킵니다.  한번에 3시간 가량, 2~3주 내내 울며 보채는데, 다리에 힘을 주어 뻗치거나, 웅크리기를 반복하고, 방귀를 심하게 뀝니다.

보통 저녁 오후 5~6시경 시작되어 깊은 밤이 되어서야 울음을 그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생후 2~4주에 시작되어 4개월이 지나면서 90%의 아가들이 별탈 없이 사라집니다.


영아산통의 원인은 명확하지 않습니다. 위장(소화기관)이 성숙되는 자연스런 과정에 생기는 일시적 현상이라고 추측됩니다.

신생아 위장은 아직 소화효소가 충분하지 않아, 분유, 모유를 소화, 흡수하는 과정에서 방귀가 생기면서 보채게 됩니다. 신생아 소화기능이 성숙하면서, 울고 보채는 횟수와 빈도도 줄어들게 됩니다.

모유수유 아가가 보챈다면, 엄마 식단에도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엄마가 우유제품을 즐겨 섭취하는 경우, 우유, 치즈, 요구르트를 1주일 정도만 제한 해보면, 아가의 보채는 빈도, 횟수가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자극적인 짜고, 매운 식단, 밀가루 음식, 땅콩, 딸기, 야채(양배추, 브로콜리), 마늘, 카페인, 알코올을 섭취하는 경우, 유난히 아가는 보챕니다. 

의심되는 식단을 찾아내었다면, 1~2주 정도 식단 제한으로 아가의 보채는 횟수는 감소됩니다.

[신생아 궁금증] - 1개월째 모유 수유 중인데, 조심해야 하는 음식이 있나요?



수유 방법에도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급하게 먹으려는 아가는 공기를 많이 삼켜서, 금세 배가 불러 보채는 경우가 흔합니다.  충분히 트림을 시켜주면서 게우지 않고, 장의 가스를 배출하게 하면 보채는 횟수,빈도를 줄일 수 있습니다.


블로그 이미지

peterpani.com

한유석원장*소아청소년과전문의

,

4개월20일된 아가로, 음식먹는 걸 보면 쩝쩝 거리구 침흘리구 해서 이유식을 시작했습니다. 그런데, 시작해 보니 잘 먹더라구요. 처음엔 미음만 먹였는데 잘 먹다가 몇 번 먹으니 안 먹을라구 해서, 단호박, 고구마, 감자 섞여 먹였더니 너무 잘 먹더라구요. 너무 잘먹어서 걱정입니다. 이렇게 많이 먹여도 되는지요? 아기는 주는데로 맛있게 쩝쩝 거리며 다먹어요. 이유식을 줄여야 하나요?  
 


이유식 진행이 잘 되는 행복한(!) 아가의 경우입니다.  초반기에 잘 먹는 아가의 경우는 식단의 종류를 다양해서 초반의 흥미를 잃지 않도록 해주면 좋습니다. 일부러 이유식 횟수를 줄일 필요는 없습니다.

이유식의 기본적인 진행은 다음과 같습니다.

 처음엔 하루 한끼로 시작합니다.  첫날과 둘째날에 한끼로 괜찮으면, 셋째 날부터는 아침, 저녁으로 3~4일간 진행합니다. 아가가 좀더 편안해하는 것으로 보여지면, 그 이후로는 하루에 3회이상으로 진행해도 됩니다. 생후 8개월이 되면, 보통 하루 세끼 고형식(된밥)을 먹을 수 있게 됩니다. 

 앉혀서 숟가락으로 떠 먹이세요.  차분히 앉아 먹을 수 있는 어린이 의자, 끝이 부드러운 아가용 수저, 이유식용 접시 등이 필요합니다. 특히, TV 앞에서는 시청하면서 이유식 시작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되도록 5종류의 식단이 골고루 섞이도록 하여야 합니다. ⓵ 모유 또는 분유 보충하고,⓶ 곡류는 죽으로 시작해서 쌀밥, 된밥을 진행하고,⓷ 녹색/황색 채소 ⓸ 과일(계절) ⓹ 단백질 식단(닭고기, 치즈 유제품, 두부, 쇠고기) 으깬것들...

블로그 이미지

peterpani.com

한유석원장*소아청소년과전문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