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호기속도'에 해당되는 글 2건

영아 천식의 치료관리를 위해, 최대호기속도계를 집에서 사용하는 것은 마치, 고혈압환자의 혈압체크 또는 당뇨환자의 혈당관리에 해당합니다. 어찌 보면, 쉽고 간단하지만, 엄마아빠의 입장에서는 만성질병(!)을 이제부터 관리해야 하나되는게 아닌가하는 막연한 불안감(!)을 느끼기도 합니다.

그러나, 소아청소년의 천식은 어른의 천식과 달리, 급성악화만 잘 예방하고 관리만 한다면, 사춘기전후로 자연스럽게 호전되는 경우가 흔합니다. 그렇다고, 그냥 방치(!)해도 된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아래그림(↓)은 매일 아침과 저녁으로 최대호기속도계를 불어서 패턴을 보여주는 그림입니다. 평균적으로 500~550정도 유지되다가, 1주일동안(굵은 세로선이 하루입니다) 400으로 떨어진후, 이후에 5~6일동안 서서히 500대로 회복되는 과정을 보여줍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윗그림(↑)처럼 천식아가의 급성 증상은 보통 심해져서 고생하는 데 1주일정도 걸리고, 회복되는데 1주일정도 걸립니다. 물론 아가의 증상 및 치료반응이 개개인에 따라서 다르겠지요.

이런 2주동안에 가정에서 최대호기속도계를 수시로 사용하면서 기관지 반응을 체크하면서 흡입약제 및 기관지약을 꾸준히 복용한다면, 아마도 치료과정에 대한 불안감을 상당히 줄어들 것입니다.

아래그림(↓)은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그래프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아래PDF파일을 다운 받아 사용하시면 됩니다.

 


 


블로그 이미지

peterpani.com

한유석원장*소아청소년과전문의

,

영유아천식은 상기도 감염(비염,기관지염,편도염)등에 의해 악화되는 경우가 흔합니다. 

특히, 야간에 심해지므로, 부모로선 상당히 불안감을 느끼게 됩니다. 그러나, 영유아 천식은 성인형 천식과 달라, 적절히 관리하면 빨리 회복되므로 정상적인 생활을 하게 됩니다. 따라서, 부모님으로서는 충분한 지식으로 평소에 준비를 잘 한다면, 평상 생활에는 전혀 지장이 없습니다.   

호흡기 클리닉에서 많이 사용되는 모델입니다.




가정에서 천식 모니터링최대호기속도계로 측정합니다.
 
6세 이상 아이들은 가정에서 쉽게 입에 대고 '후욱' 불어서 간단히 테스트 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외출후에 갑작스럽게 기침을 발작적으로 하거나, 쌕쌕거린다면, 즉시 최대호기속도계를 사용하여, 폐기능을 간단히 확인하여, 초기에 흡입치료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최대호기속도는 기관지 직경이 넓은지? 좁아졌는지? 를 가리킵니다." 
최대호기속도계는 기관지에서 공기를 얼마나 빨리 내 쉴 수 있는가를 측정하여, 기관지의 직경(좁아진 정도)를 측정합니다. 기관지 점막이 붓게 되어 기관지 직경이 좁아지면, 당연히 최대호기속도 낮게 측정됩니다. 

최대호기속도계(Peak flow meter)이용하여 최대호기속도(Peak flow velocity)를 측정하여, 평소의 최고값(매일 아침에 3회 측정하여 최고값을 당일 기준값으로 합니다)를 기준으로 하여 비교하면 현재의 기관지 상태를 알 수 있습니다.

 아침과 저녁(하루 2회)에 측정하여 기록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허리를 곧게 세운 자세에서, 깊이 숨을 들이 마신 후, 최대호기속도계를 입술로 가볍게 물고(공기가 새지 않도록)후욱하며 빠른 속도로 몰아쉽니다.



블로그 이미지

peterpani.com

한유석원장*소아청소년과전문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