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일된 아가입니다. 지칠 때까지 울다가 잠이 들곤 합니다. 아무리 편하게 안아줘도 얼굴이 뻘개져서 눈을 감고 울어요.(눈물도 없이) 그리고 젖을 물려도 보채고 안아줘도 보채고 그래요. 스트레스 받은 아가처럼 신경질적으로 마구 울어요. 왜 그러죠? 어떻게 해야 하나요?

아가들은 울고 보채기 마련입니다. 쉴 새 없이 보챌때, 아가가 어디가 불편한 게 아닌가 하는 걱정으로 엄마아빠는 당황하게 됩니다. 또한, 아가한테 어떻게 해주어야 할지 몰라 당황스럽고, 또한 한없이 보채는 아가가 미워지기 마련입니다.


영아산통이란 건강한 3~4개월 미만 아가가 쉴 새 없이 울고 보채는 경우를 가리킵니다아가들은 특별한 이유 없이 울고 보채기를 반복합니다. 특히, 생후 6~8주를 지나면서 울음과 보챔은 심해집니다. 그러다가, 생후 3개월이 지나면서 서서히 횟수와 빈도가 줄어들게 됩니다.

영아산통의 원인과 다루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신경발달이 아직 미성숙하므로, 외부자극에 쉽게 반응하여 자주 울고 보챕니다.  따라서 조용한 방으로 옮겨서 안거나, 업어서 달래주면 진정한다. 간혹,자동차를 태워 시동을 키거나 음악을 틀어주면, 조용해 지기도 합니다.

소화(위장)기능이 아직 미성숙하여, 배에 가스가 차거나 변을 자주 볼 때 울고 보챕니다.  수유자세 및 요령을 살짝 바꾸어 보세요. 젖병 또는 모유수유할 때 공기를 삼키지 않도록 유의해야 합니다.  트림도 자주 시키도록 해야합니다.

아가의 분유 또는 모유에 알러지 반응을 보이기도 합니다.  모유 수유하는 경우, 엄마의 식단의 영향으로 아가가 유달리 보채기도 합니다. 자극적인 식단, 땅콩, 고섬유질 식단, 카페인, 유제품이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분유에 대해 예민하다면, 소이분유(대두 분유) 또는 HA분유(저알러지 분유)가 도움이 됩니다.

[신생아 궁금증] - 모유 수유중인데, 커피를 마셔도 되는지요?
[신생아 궁금증] - 1개월째 모유 수유 중인데, 조심해야 하는 음식이 있나요?

 아가가 체질적으로 예민한 경우도 있습니다. 잠도 잘 안자고, 조금씩 자주 먹기를 반복하는 아가의 경우가 그러합니다.  엄마아빠도 보통 꼼꼼하고 예민한 경우가 많습니다.


영아산통으로 인해서 아가에게 정서적인 영향은 없습니다. 아가의 발달과정의 자연스런 일부분이기때문입니다. 

블로그 이미지

peterpani.com

한유석원장*소아청소년과전문의

,

                   성장 클리닉 문진표-1

성명(Name): ___________   생년월일(Birth date):______년___월___일,(만____세)
키(Height):______cm (____퍼센타일),    체중(Weight) ______kg (_____퍼센타일)


1. 초등학교 (    )학년이며, 학급(    )명중에서 키순서로 (     ) 번째입니다.

* 수년 간 유치원, 초등학교에서 키가 작은 순서로 3~5번째 안에 해당하는 경우, 성장 클리닉 진료가 필요합니다. 

2. (만)(    )살부터 또래아이(유치원/초등학교)에 비해 작다고 느꼈습니다.

* 키 성장에 관심을 가져야 할 나이는 3~13세까지의 기간으로, 특히, 초등학교저학년 (1~4학년)에는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또래아이들에 비해 평균보다 10cm 정도 작으면 초등학교 입학 전에 성장클리닉 진료가 필요합니다.


3. 아버지(父)의 키 (        )cm, 체중 (      ) Kg이며, 만(      )세 경에 변성기가 오고, 턱수염이 났으며,  만(       )세 경에 키 성장이 끝났습니다.

* 가족들(부모)의 사춘기 시작연령은 자녀의 사춘기 시작연령과 비슷합니다.

* 체질적으로 늦게 자라는 아이들은 뼈나이가 실제나이보다 어리며, 외모가 또래보다 어려보이고, 2차 성징(사춘기 징후)가 또래보다 느립니다. 또한, 치아가 늦게 나고, 걷기나 말하기도 늦는 경향이 있으며, 운동 활동량이 많습니다. 부모,조부모,외조부모 등 가까운 가족 역시 늦게 자란 사람이 많습니다.

4. 어머니(母)의 키(      )cm, 체중(     )Kg이며, 만(      )세 경에 가슴이 나오고, 만(    )세 경에 초경을 시작하였고, 만(       )세 에 키 성장이 끝났습니다.

* 부모의 형질은 완전 유전한다고 할 때, 아들예상키 {(아빠키 + 엄마키)/2 + 6.5 }cm 이며, 예상키{(아빠키 + 엄마키)/2 - 6.5 }cm 입니다. 이는 남녀의 키차이는 13cm 가량이며, 오차 범위는 ± 10cm 입니다.
 
* 예측 성장키(Midparental Height)= (           )cm 입니다.

5. 아이의 형제자매, 조부모, 외조부모는 키가 큽니다(Yes)/작습니다(No) ( Y / N )

* 인종,종족,가계의 유전적 영향으로 키 성장의 차이가 있습니다. 키 성장변수의 75%가량은 유전적 형질의 영향으로 밝혀졌으나, 유전적 형질은 환경적인 (운동, 식단, 스트레스) 요인과 더불어 키 성장에 영향을 줍니다.
* 친가, 외가, 부모, 형제 등 모든 가족이 키가 아주 작은 경우 성장 클리닉진료가 필요합니다.

6. 출생 체중은 (       )kg, 임신 주수는 (      )개월이며, 임신동안 의학적 문제(Yes)는 밑줄과 같습니다. 또는 없었습니다(No). ( Y / N )

Yes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미숙아, 저체중 아가의 80%만 2~3세까지 따라잡기 성장(Catch-up growth)이 되지만, 나머지 20% 에서는 계속 키,몸무게가 작아서, 성인이 되어서도 키가 작을 가능성이 큽니다. 

7. 아이의 앓고 있는 만성질병은 다음(Yes)과 같습니다./ 없습니다(No)  ( Y / N )

Yes : 잦은 감염(폐렴, 중이염), 장염(설사), 변비, 아토피 피부염

기타: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감기, 기관지염, 설사, 장염을 자주 앓게 되면, 성장에 필요한 영양분의 섭취가 안되고, 질병과 싸우느라 에너지를 소비하게 됩니다. 또한, 질병으로 인해, 충분한 수면이 안되어서 성장호르몬의 분비가 줄어들게 됩니다.

엄마가 체크하는 성장 클리닉 문진표-2

블로그 이미지

peterpani.com

한유석원장*소아청소년과전문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