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리닉 Q & A !!! > 성장/성조숙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골연령(뼈나이) 계산하는 원리는 수학의 힘.... (0) | 2008.09.04 |
---|---|
성장호르몬 주사를 위한 준비과정은 이렇게!!! (0) | 2008.09.04 |
미숙아 성장곡선(그래프) (0) | 2008.09.03 |
성장호르몬 주사요법시 자주하는 질문은??? (0) | 2008.09.03 |
미숙아의 따라잡기 성장이란... (0) | 2008.09.03 |
골연령(뼈나이) 계산하는 원리는 수학의 힘.... (0) | 2008.09.04 |
---|---|
성장호르몬 주사를 위한 준비과정은 이렇게!!! (0) | 2008.09.04 |
미숙아 성장곡선(그래프) (0) | 2008.09.03 |
성장호르몬 주사요법시 자주하는 질문은??? (0) | 2008.09.03 |
미숙아의 따라잡기 성장이란... (0) | 2008.09.03 |
성장호르몬 주사를 위한 준비과정은 이렇게!!! (0) | 2008.09.04 |
---|---|
미숙아 성장곡선(그래프)-인쇄용 (0) | 2008.09.03 |
성장호르몬 주사요법시 자주하는 질문은??? (0) | 2008.09.03 |
미숙아의 따라잡기 성장이란... (0) | 2008.09.03 |
성장호르몬 주사요법 시작전에 미리 읽어 봐야... (0) | 2008.09.03 |
미숙아 성장곡선(그래프) (0) | 2008.09.03 |
---|---|
성장호르몬 주사요법시 자주하는 질문은??? (0) | 2008.09.03 |
성장호르몬 주사요법 시작전에 미리 읽어 봐야... (0) | 2008.09.03 |
성장호르몬 주사후의 성장곡선은 이렇게 변해야죠... (0) | 2008.09.03 |
그림으로 본 사춘기 성적 발달 단계(Tanner's stage) (0) | 2008.09.03 |
1세 이후의 운동 발달은 (0) | 2008.07.10 |
---|---|
말이 늦은 거 같아요. (0) | 2008.07.07 |
[1세] 걸음마가 더뎌요. 어떻게하죠? (0) | 2008.07.04 |
1세이전의 언어발달에 관해서 (0) | 2008.06.24 |
계속 뒤집어요. (0) | 2008.03.01 |
그림으로 본 사춘기 성적 발달 단계(Tanner's stage) (0) | 2008.09.03 |
---|---|
성장호르몬이란 ??? (0) | 2008.09.03 |
여아의 성적 성숙도(SMR; 사춘기)를 그림으로 살펴보면; Tanner stage (0) | 2008.05.30 |
키가 작다면 한번쯤 검사해봐야 하는 항목들은 ^*^ (0) | 2008.05.30 |
뼈나이(골연령;손목 X-ray)를 찍어야 하는 이유 ^*^ (0) | 2008.05.30 |
성장 클리닉 문진표-2
엄마가 체크하는 성장 클리닉 문진표-1
8. 아가의 수면 시간은 밤( )시부터 아침( )시 까지이며, 깊은 잠(Yes) 또는 얕은 잠(No)을 자는 편입니다. ( Y / N )
9. 아가의 식사 습관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편식합니다. (2) 조금씩 먹습니다. (3) 골고루 먹으나 조금씩 먹습니다.
(4) 골고루 많이 먹습니다.
10. 아가는 평소 {(1) 몹시 (2) 보통 (3) 전혀 안 } 예민하여 쉽게 스트레스를 받습니다.
11. 아가는 자신의 키가 작은 것에 스트레스를 {(1) 몹시 (2) 약간 (3) 전혀 안} 받습니다.
12. 과거 성장치료{ (1) 성장보조제 (2) 한약 (3) 타병원 }의 경험이 있다(Yes). 없다(No)
13. 아가는 매일 규칙적인 운동을 대략( )분 동안 한다(Yes). 안 한다.(No)
14. 아가의 사춘기의 첫 증상이 만( )살 때 있었습니다(Yes), 없다(No)
15. 아가의 평균 성장속도는 ( )cm/년 이며,지난해 학교검진에서 키는 ( )cm 이다.
체질적으로 성장이 늦은 아이는 (0) | 2008.06.02 |
---|---|
여아의 성적 성숙도(SMR; 사춘기)를 그림으로 살펴보면; Tanner stage (0) | 2008.05.30 |
키가 작다면 한번쯤 검사해봐야 하는 항목들은 ^*^ (0) | 2008.05.30 |
뼈나이(골연령;손목 X-ray)를 찍어야 하는 이유 ^*^ (0) | 2008.05.30 |
엄마가 체크하는 성장 클리닉 문진표-1 (0) | 2008.05.14 |
성장 클리닉 문진표-1
성명(Name): ___________ 생년월일(Birth date):______년___월___일,(만____세)
키(Height):______cm (____퍼센타일), 체중(Weight) ______kg (_____퍼센타일)
1. 초등학교 ( )학년이며, 학급( )명중에서 키순서로 ( ) 번째입니다.
* 수년 간 유치원, 초등학교에서 키가 작은 순서로 3~5번째 안에 해당하는 경우, 성장 클리닉 진료가 필요합니다.
2. (만)( )살부터 또래아이(유치원/초등학교)에 비해 작다고 느꼈습니다.
3. 아버지(父)의 키 ( )cm, 체중 ( ) Kg이며, 만( )세 경에 변성기가 오고, 턱수염이 났으며, 만( )세 경에 키 성장이 끝났습니다.
* 가족들(부모)의 사춘기 시작연령은 자녀의 사춘기 시작연령과 비슷합니다.
4. 어머니(母)의 키( )cm, 체중( )Kg이며, 만( )세 경에 가슴이 나오고, 만( )세 경에 초경을 시작하였고, 만( )세 에 키 성장이 끝났습니다.
5. 아이의 형제자매, 조부모, 외조부모는 키가 큽니다(Yes)/작습니다(No) ( Y / N )
6. 출생 체중은 ( )kg, 임신 주수는 ( )개월이며, 임신동안 의학적 문제(Yes)는 밑줄과 같습니다. 또는 없었습니다(No). ( Y / N )
Yes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7. 아이의 앓고 있는 만성질병은 다음(Yes)과 같습니다./ 없습니다(No) ( Y / N )
Yes : 잦은 감염(폐렴, 중이염), 장염(설사), 변비, 아토피 피부염
기타: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체질적으로 성장이 늦은 아이는 (0) | 2008.06.02 |
---|---|
여아의 성적 성숙도(SMR; 사춘기)를 그림으로 살펴보면; Tanner stage (0) | 2008.05.30 |
키가 작다면 한번쯤 검사해봐야 하는 항목들은 ^*^ (0) | 2008.05.30 |
뼈나이(골연령;손목 X-ray)를 찍어야 하는 이유 ^*^ (0) | 2008.05.30 |
엄마가 체크하는 성장 클리닉 문진표-2 (0) | 2008.05.14 |
9개월 된 아들 완모중인데요. 6개월부터 이유식 시작했는데 이유식 먹이기 힘드네요. 고기를 많이 안 먹어서 철분 부족이 오는건 아닌지요? 혹시, 철분을 보충해줘야 하는건지 궁금합니다.
생후 4~6개월이후 모유수유를 지속하는 경우에도 생깁니다. 모유속의 철분은 조제분유에 비해 3배정도 위장내에서 흡수가 빠릅니다. 그러나, 모유의 총량은 대개 줄게 되어 철분섭취는 상대적으로 부족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이유식을 시작하는 생후 6개월전후가 되면, 철분이 풍부한 이유식단 및 철분보충된 조제분유를 권합니다.
또한, 돌전에 생우유를 많이 섭취하는 경우에도 흔히 생깁니다. 생우유는 칼슘, 단백질은 풍부하나, 상대적으로 철분의 양은 적습니다. 또한, 생우유는 장점막을 자극하여 음식속의 철분의 흡수를 떨어뜨리기도 합니다.
철분제 복용시 주의사항은 ?
❶ 물약의 경우, 철분제 물약이 치아에 검게 착색되므로, 약을 빨대로 빨아 먹이거나 해서 혀 뒤로 약물을 투여함이 좋습니다. 또한, 복용후 양치질이나, 입안을 행구어 주도록 합니다.
❷ 대변 색깔이 검게 되는데, 철분 제제에 의한 것이므로 특별한 치료없이 관찰만으로 무난합니다.
❸ 철분제를 복용 1주일이 지나면서 증상은 좋아지나, 충분한 치료를 위해 철분 약을 3-4개월 정도 먹여야 합니다.
❹ 철분제는 공복에 오렌지 쥬스와 같이 먹이는 것이 흡수가 잘 됩니다. 간혹 배가 아프다고 하거나, 설사를 하는 경우에는 철분제를 식후에 복용하도록 합니다.
❺ 경구 철분제 복용후 1~2개월후에 혈액검사(혈색소)로 확인하게 됩니다. 이후 6개월가량 철분제를 꾸준히 보충해야 합니다.
이유식만으로 충분할까요?
아가마다 다릅니다. 때론 이유식만으로는 철분보충이 충분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시중의 철분이 보강된 분유로 먹이는 편이 좋습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소아과전문의 진찰후에 철분제 처방이 필요하기도 합니다.
또한, 육류만 잘 먹는다고, 빈혈이 예방되는 것은 아닙니다. 육류를 비롯한 채소나 과일에 들어있는 비타민 C 와 당근과 멸치에 들어 있는 칼슘이 철분의 흡수를 도와주므로 편식을 막고 여러 가지 음식을 골고루 먹게 하는 것이 철 결핍성 빈혈의 예방에 중요합니다.
철분이 많은 음식들은 계란 노른자, 쇠고기, 쇠간, 굴, 대합, 바지락, 김, 미역, 다시마, 파래, 쑥, 콩, 강낭콩, 깨, 팥, 잣, 호박, 버섯 등이 있습니다.
장염때에는 어떻게 먹여야 하죠? (0) | 2008.04.01 |
---|---|
[8개월] 철분이 많이 함유된 식단은 어떤가요? (0) | 2008.03.27 |
[15개월]치아관리는 어떻게 하나요? (0) | 2008.03.24 |
[16개월] 아가한테 입냄새가 나요? (0) | 2008.02.20 |
[5개월] 젖물고 구역질을 해요 (0) | 2008.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