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개월 아가입니다. 애기 머리가 나무바닥에 부딪혔어요. 쿵 소리 나서 달려가 보니 한 5분 동안 심하게 울었어요. 달래주니깐 진정했는데, 현재 특별한 증세는 없어요. 어떻게 하죠?

생후 6개월~2세 사이의 아가들은 낙상(추락), (가스)질식, 화상 등의 사고의 위험이 가장 큽니다.  이때는 기어 다니고, 뒤집고, 양손을 가지고 놀기 시작하면서 집안 구석구석을 뒤집고 다니게 됩니다.  따라서, 실내바닥에 카페트를 깔거나, 모서리의 충격방지 쿠션을 부착하는 편이 좋습니다.

아가의 외상(낙상,추락)이 일어났을 땐, 의식의 변화(자꾸 잠만 자려고 하는지??), 구토(자꾸 헛구역질 하고??), 생기 없이 늘어지려고 하는 변화가 있을 때는 즉각적인 병원 진료가 필요합니다.

보통, 가벼운 충격인 경우, 일시적으로 놀래서 보채는 경우가 흔하지만, 이또한 주의 깊은 관찰이 필요합니다.

실내 가장 흔한 사고는 다음과 같습니다.

 화상(火傷)이 가장 흔합니다.
후라이 팬, 커피포트, 싱크대의 뜨거운 물, 목욕물에 많이 화상을 당합니다. 아가가 호기심으로 만지작 거리다가 손등, 발등의 부위에 많이 화상을 입습니다.

 낙상(落傷)도 흔합니다.
어리이용 식사 의자, 침대, 놀이터 계단에서 많이 떨어 집니다. 주로 머리와 이마를 많이 부딪힙니다. 때론 손을 집으면서 손목, 팔목 골절을 입기도 하구요.

 이물질에 의한 기관지 질식도 흔합니다.
혼자 앉아서 장난감, 동전, 사탕, 땅콩, 약병 뚜껑을 삼키면서 질식하는 경우입니다. 특히, 이유식 시작하면서, 아가가 입으로 손을 가져가는 시기에 특별한 관심이 필요합니다.  특히, 삼키기 쉬운 장난감은 조심해야 합니다.


실내 사고의 예방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주의가 필요합니다.

 실내 바닥에 부드러운 충격방지 쿠션을 깔아 놓으세요.

 가구 모서리에 충돌방지 고무 쿠션을 부착하세요.

 어른들의 처방약물 병은 아가 손이 닿지 않게 따로 보관해야 합니다.

 엄마의 요리시간에 아가는 가까이 오지 못하게 해야 합니다.

 아가가 혼자서 블록 놀이 할 때, 삼키기 쉬운 블록은 일단 분리해서 관리하세요.

 실내 전화플러그에 보호용 장치를 하세요.


블로그 이미지

peterpani.com

한유석원장*소아청소년과전문의

,
10개월로 접어드는 남아입니다. 아직까지 기어 다니지도 않고, 혼자 안지도 않습니다. 배밀이도 없구요. 너무 늦은것 같아서요. 병원에 가야 할까요? 


1. 우선적으로 발달과정에 대한 진료가 필요해 보입니다.

생후 9~10개월이 되면, 허리와 다리의 힘이 좋기때문에 배밀이, 앉기, 기어다니기중 2개이상은 하여야 합니다.
가까운 소아청소년과를 내원하여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언제부터 기어다니나요?

생후 6~10개월이 되면 기어다니기 시작합니다.  처음에는 무릎을 끌면서 앞으로 기어다닙니다.  점차, 무릎에 힘이 들어가면서 힘차게 앞으로 전진합니다. 좀더 익숙해지면, 상체와 하체가 번갈아 움직이면서, 리듬감있게 움직입니다.

양손으로 바닥을 짚고, 무릎을 세워서 균형을 잡게 됩니다.  무릎을 앞으로 뒤로 움직이면서 본격적으로 기어다니게 됩니다.

아가는 기어 다니면서 아가의 활동반경(!)이 넓어집니다.

집에서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1. 아가의 시야범위 안에 장난감을 두세요. 잡으려고 애쓰면서 기려고 합니다.

2. 기어다니는 길목에 종이상자, 베개, 쿠션으로 장애물을 놓아두세요. 이리 저리 비켜가면서 더욱 능숙하게 기어 다닙니다.

3. 아가의 손이 닿으면 위험한 물건은 치우세요. 기어 다니면서 집안 온갖 구석의 전기제품, 주방기기, 등을 만지기때문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잘 기어 다니는 건강한 아가


블로그 이미지

peterpani.com

한유석원장*소아청소년과전문의

,
만9개월되는 여아입니다. 책마다 조금씩 다르게 말하고 있어 초보맘 마음이 조급해지네요. 만 9개월임에도 불구하고 아직 혼자서 앉지를 못하여, 무릎을 이용하여 기지를 못한답니다. 배밀이는 아주 기막힌 선수고요, 자기가 잡고 싶은것이 있으면 어디든 간답니다. 때로는 개구리처럼 두팔을 바닥에 딛고 힘껏 딛어 배를 바닥에서 떼어 폴짝폴짝 앞으로 간답니다. 앉히기 연습을 시키는데 혼자 앉기가 힘이 든지, 잠깐 있다가 앞으로 옆으로 뽀로룡 넘어지구요. 배밀이를 시작한지 한달이 되었습니다. 그전엔 뒤로만 갔거든요. 너무 늦은것이 아닌지 조바심이 납니다.


1. 아가의 개인별 운동 발달속도는 매우 다양합니다.
아가는 현재 또래에 비해 1~2개월정도 늦어 보이나, 이는 정상범위에 해당합니다.


일반적으로, 생후 6~7개월경에는 혼자 앉고, 9개월에는 앉은 자세에서 허리를 돌리수 있게 됩니다. 동시에 8개월경 배밀이를 하거나 기어다닐 수 있으며, 바로 누운 자세에서 양손을 잡아 일으키면 설 수 있습니다.

그러나, 생후 6개월이 되도록 완전히 머리를 가누지 못하고, 두팔을 바닥에 대고 머리를 들지 못한다면 아청소년과 전문의 진찰이 필요하겠지요.

언제쯤 혼자서 앉을 수 있나요?

혼자서 뒤집기머리가누기를 능숙하게 하면, 곧 혼자 앉을 수 있게 됩니다. 생후 5~7개월 이후로, 아가는 혼자서 앉을 수 있습니다. 이후 생후 8개월이 되면, 90%의 아가들이 엄마아빠의 도움 없이 혼자서 몇 분 동안 앉을 수 있습니다.


혼자 앉기 위한 아가의 연습운동(=발버둥???)은 이렇게 합니다. 


생후 3~4개월이 지나면 목에 힘이 들어가면서 머리를 가누게됩니다. 이후로는 끊임없이 머리를 드는 연습과 함께 양손을 허우적대면서 마치 일어나려고 용쓰는 운동(!)을 합니다. 엄마아빠들은 이시기를 "아기가 발버둥을 쳐요!!!"라고 표현합니다.

충분한 연습(발버둥)으로 허리근육과 양팔 근육이 단련이 되어, 아가는 몸의 균형을 잡기 위해 팔꿈치로 바닥을 짚고 상체를 들게 됩니다.  생후 5~6개월에는, 잠시 동안 혼자서 앉을 수도 있습니다.

이윽고, 나름대로 기술(!)을 터득한 아가는 양손으로 바닥을 짚고, 상체(허리)를 세우려고 하면서 균형 잡는 요령을 터득하게 됩니다. 

동시에,  양손을 꼼지락거리면 손장난을 하면서 놀기도 하고, 장난감 또는 젖병을 잡고 흔들면서 놀게 됩니다.  이때부터는 아가가 앉아서 이유식을 시작하게 됩니다.  동시에, 핑거푸드(finger food라는 간식)을 손으로 만지작 거리면서 장난도 치고, 오물오물 혼자서 먹게 됩니다.

앉고 나서는 앞으로 몸을 숙여서 기어다니려 합니다.

혼자 앉아서 앞으로 뒤로 몸을 흔들면서 균형을 잡을수 있게 됩니다.  앞으로 넘어지고, 손으로 바닥을 짚고, 기어 다니기 시작합니다. 10개월이 되면 온 방안을 휘저으며 기어 다니게 됩니다.

집안에서는 이렇게 도와주세요.

1. 아빠엄마의 두손으로 아가의 겨드랑이를 받쳐서 상체를 앉혀 보세요. 아가는 목에 힘을 주고 주변을 두리번거리면서 목과 허리에 힘을 주면서 잠시나마 앉게 됩니다.

2. 아가를 살짝 엎어 놓아 보세요. 아가는 머리와 허리에 힘을 주면서 아빠엄마를 보려고 두팔에 힘을 주면푸시업운동(mini-pushup exercise)을 하게 됩니다.

3. 소리나는 인형, 장난감을 손에 쥐어 주세요.  장난감을 가지고 흔들며 놀면서, 상체균형을 잡는 연습을 하게 됩니다. 두팔로 균형을 잡으면서, 혼자 앉은 자세를 유지하려고 하기때문입니다.

[신생아 궁금증] - 집에서 어떻게 놀아줘야 하나요?

블로그 이미지

peterpani.com

한유석원장*소아청소년과전문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