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청소년 문장 완성 심리검사(작성 요령)
Sentence Completion Test(SCT)

미완성 문장을 작성자(청소년)가 주어진 시간내에 작성해야 합니다.  자유 연상검사(Free Association Test), 단어 연상검사(Word Association Test)의 연구결과 토대로 발전했으며, 성격유형, 사고반응, 정서반응 및 심리상태를 투사(projection)이란 기법을 이용한 심리검사입니다.

검사 방법
* 개인과 집단 모두에서 사용가능하며 20~40분(25분 가량) 내에 작성합니다. 
* 검사 시작시간과 끝낸 시간을 기록합니다.
* 검사 완성 후 중요하거나 숨겨진 의도가 있다고 생각되는 문항은 이것에 대해 좀 더 이야기 해달라고 해야 합니다.
* 심하게 불안한 내담자는 구술도 가능합니다. 이때 반응시간, 얼굴 붉어짐, 표정변화, 목소리변화, 전반적인 행동을 관찰하고 어떤 문항에서 막히는지 알아야 합니다.


작성시 설명요령
* 답에는 정답, 오답이 없습니다. 생각나는 대로 써야 합니다.
* 글씨쓰기, 글짓기 시험이 아니므로 글씨나 문장의 좋고 나쁨을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 주어지 어구를 보고 제일 먼저 생각나는 것을 써야 합니다.
* 주어진 어구를 보고도 생각이 안 나는 경우에는 번호에 0을 치고 다음문장으로 넘어가고 마지막에 완성합니다.
* 시간에 제한은 없으나 너무 오래 걸리지 않도록 빨리빨리 씁니다.
* 볼펜이나 연필로 쓰되, 지울 때는 두 줄로 긋고, 다음 빈 공간에 씁니다.


블로그 이미지

peterpani.com

한유석원장*소아청소년과전문의

,


 동적가족화는 가족화(Drawing a family, DAF)에 움직임을 첨가한 일종의 간접 표현(투사화,projection)로 Burns & Kaufman(1970)에 의해 발전되었습니다.

 동적가족화는 가족화가 가지는 상동적인 표현을 최소화하고 움직임을 강조하여 개인을 통해 가족의 역동성을 파악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소아, 어린이의 연령이나 지적 수준에 따라 그림을 그리는 가족화의 단점을 보완하여 가족구성원에 대한 감정이나 태도를 간접적으로 표현(투사)합니다.

  자녀의 눈에 비친 가족들의 일생생활태도나 감정을 그림으로 나타냄으로써 자녀의 주관적 판단이 표현됩니다.  즉, 객관적 물리적 환경으로서의 가족인지라기 보다 자녀의 주체적, 선택적으로 지각하는 주관적 심리적 환경으로서의 가족 개념이 표현됩니다. 

◇  검사도구 : 백지(A4 용지), 연필(HB나 4B정도), 지우개

◇  소요시간 : 시간 제한은 없으나 보통 30~40분 정도

◇  지시사항 :
  
   “자신을 포함하여 가족이 무엇인가 하고 있는 그림을 그려보세요".
  
   "만화나 막대기 같은 사람이 아닌 사람 전체를 그려보세요."

    "무엇이든 어떠한 행동를 하고 있는 그림을 그려야 합니다."

    " 당신 자신(자녀)도 그리는 것을 잊어서는 안됩니다.”



그림 완성 후 다음을 확인합니다.

   * 그린 순서는?

   * 인물의 나이, 행위는?

   * 가족 중 생략한 사람은?

   * 가족이외에 첨가한 사람은?

   * 지우고 다시 그린 사람은?
 

블로그 이미지

peterpani.com

한유석원장*소아청소년과전문의

,


7세 여아의 그림으로, 소심하고 주눅들어하는 모습있어 동적가족화 그림을 통해 자녀의 마음을 살펴보았다.

가족 구성원은 4명(엄마,아빠,자녀(나), 동생)으로 이루어 졌으나, 가족의 주도권(파워)은 엄마의 역활이 크게 느껴진다. 4명의 가족은 수평적이고 독립적인 관계를 보여준다. 동생과 자녀(나)는 약간의 거리감을 형성하고 있다. 즉, 엄마를 중심으로 아빠-나의 3각의 관계와 거리감을 둔 동생과의 1:3의 관계를 형성하고픈 자녀의 심리를 옅볼 수 있다.

머리위의 이불은 평상시, 엄마/아빠가 퇴근후, 자녀와의 놀이시간 없이 곧바로 잠들어 버리는 모습을 형상하고 있다. 각자의 이불(독립된 생활-맞벌이-대화의 단절)을 암시하고, 동시에 자녀는 머리위쪽의 고민,불만을 암시하고 있다.

자녀는 이 시간을 자신만의 TV 시청으로 해소하고 있다.

그림 하부의 바다(빠질것 같은, 질식할 거 같은 불안감)을 상징하며, 이곳에서 열심히 생활하는 (미역, 먹을 것을 향해 전진하는) 미역(먹을 것)을 찾아가는 가족들의 모습을 형상화 했다.

실제로, 무뚜뚝하고 열심히 생활하는 유순한 아빠, 맞벌이를 하면서 활달한 성격의 영업을 하는 엄마 사이의 초등 1년의 그림입니다. 가족간의 거침없이 할말 다하는(수평적 관계) 이며, 2살의동생은 나(자녀)에게 거리감을 두고 싶은 존재로 표현됩니다.

바쁘고 힘든 바다같은 세상에서 성공적인, 금전적인 안정을 추구하는 물고기 3마리("미역을 먹으러 가는 물고기"라고 표현)를 자신의 가족으로 표현함으로 아빠-엄마의 노고를 이해하고 따라가려는 속깊은 마음도 보이는 착한 자녀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 그림을 통해 자녀의 마음을 간접적으로 나마, 제3의 눈으로 바라보는 기회가 되어 크게 만족하고, 좀더 자녀를 이해하게 되었다며 밝게 진료실을 떠나는 모습이 좋았습니다.

 


 

블로그 이미지

peterpani.com

한유석원장*소아청소년과전문의

,

 CDI 우울 심리검사    초등~중등  우울,스트레스,불안
 문장 완성 심리검사(SCT)-1  초등~중등  우울,스트레스,불안
 문장 완성 심리검사(SCT)-2  초등~중등     우울,스트레스,불안
 성인형 문장완성 심리검사    성인  우울,스트레스,불안
 인물화에 의한 간편지능검사
 동적 가족 인물화 검사
 3~7세  지능지수(IQ),감성지수(EQ)
 투사 심리 검사
 ADHD 기초심리검사  엄마/교사  ADHD (부모/교사)
 ADHD 심리검사(CASS)    초등~중등         ADHD (자녀)
 CARS 아동기 자폐증 검사   2~7세  늦은 언어, 행동 발달
 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
  (K-CBCL)
  4~17세  학교생활,적응,사회성

블로그 이미지

peterpani.com

한유석원장*소아청소년과전문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