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개월 남아입니다. 생선과 고기를 잘 먹지 않는데, 좀더 커서도 그럴까요? 아님 지금 현재만 그럴까요? 편식은 습관을 바꾸면 나아지는 가요?

이유식이 끝나고, 아빠엄마와 같은 식사를 할 수 있게 되면(어른 밥을 먹을 수준의 2~3세가 되면), 아가의 식단에 대한 선호도가 생겨서 뜻하지 않는 편식을 하게 되기도 합니다. 이때부터는 좋은 식사 습관을 만들어 주는 편이 좋습니다.


 한거번에 너무 많이 먹이지 마세요.  편안하게 배부를 정도까지만 먹이는게 좋습니다. 동시에 아가가 싫어하는 식단을 억지로 먹이지 마세요. 편식을 피하기 위해서, 억지로 아가가 원하지 않는 식단을 먹인다면, 아가는 더욱 반항하면서(!) 악을 쓰고 떼를 씁니다.  식사테이블에서 윽박지르거나 강압적인 분위기는 곤란합니다.

 탄수화물, 단백질, 과일, 야채를 골고루 섭취하게 하세요.  되도록 콜라, 사이다, 햄버거 등의 패스트푸드는 줄이도록 하세요. 재미삼에 먹여본 패스트 푸드를 좋아하는 아가들이 제법 있습니다. 또한, 일찍부터 패스트 푸드를 먹이는 아빠엄마도 간혹 있습니다. 

 좋아하는 음식으로 아가를 달래려 하지 마세요.  대신 많이 안아 주거나, 뽀뽀해 주거나, 칭찬해주는 편이 좋습니다. 아가가 좋아하는 식단으로 협상(!)하기 시작하면, 결국에는 아가도 고집도 그만큼 강해집니다. 처음에는 순순히 말잘들어도, 점차 아가는 고집과 땡깡이 심해지기 때문이지요. 

 되도록 아가를 의자에 앉혀서 먹이세요.  특히, 엄마가 아가숟가락을 들고, 쫒아 다니며 먹이지 마세요. 아가는 엄마의 이러한 열정적인(!) 모습을 놀이하듯 즐기게 됩니다. 즉, 조금이라도 더 먹이려는 순수한 의도(!)를 「 엄마가 열심히 놀아주려나 보다」하면서 오해(!)합니다. 

그리하여, 아가는 더욱더 버튕기면서 엄마와의 식사시간을 놀이시간(play time)으로 바꾸어 버리기때문입니다.


블로그 이미지

peterpani.com

한유석원장*소아청소년과전문의

,

3세 딸인데 변비인가요?

변비음식을 줄이세요.   바나나, 당근, 유제품(치즈, 우유, 요구르트, 아이스크림) 등은 변을 딱딱하게 합니다.

섬유질 섭취를 늘리세요.  곡류빵, 과일, 애채, 브로콜리가 좋습니다.

 물을 많이 먹이세요.   사과쥬스, 오랜지 쥬스도 도움이 됩니다.

 지치도록 뛰어 놀게 하세요.   야외에서 많이 뛰어놀면, 장운동에 도움이 됩니다.

 아랫배를 살짝 맛사지 해주세요.   아마도 딱딱하고 단단한 대변을 만지게 됩니다. 3~5분정도 부르럽게 맛사지 해주면 좋습니다.

 아가용 변기에 억지로 앉히지 마세요. 변기에 앉는다는 것이 즐겁게 느껴져야 합니다. 그렇지 않다면, 아가는 아랫배에 신호(!)가 오더라도 참으려고 할것입니다.

 아가용 변기에 즐겁게 앉도록 칭찬해주세요. 아침, 저녁식사후에 변기에 5~10 정도 차분히 앉을수 있도록 시도해 보세요. 보육시설에 다닐때엔 어린이집(놀이방)의 변기가 낯설어서 앉지 않으려 하기도 합니다.

 심할땐 처방약이 필요하기도 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변이 묽어지는 처방약, 미네랄오일, 윤활제, 좌약이 도움이 됩니다. 약국에서 판매하는 글리세린좌약이 도움이 됩니다. 우선은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진찰이 먼저이겠지요.

•  항문이 찢어지면서 피가 날때는(항문 열상), 면봉에 후시딘연고, 박트로반 연고, 알로에베라로션등을 발라주는 것이 좋습니다. 이때도 소아청소년과 진찰이 먼저 입니다.

블로그 이미지

peterpani.com

한유석원장*소아청소년과전문의

,



사용자 삽입 이미지




설사하는 아가의 식단은


구토, 설사로 고생하는 아가를 위한 식단은 엄마아빠의 요리능력, 아가의 기호(편식 성향)를 고려해야 합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장점막의 회복을 촉진하고, 조기에 충분한 단백질 및 열량을 보충하도록 식단을 준비해야 합니다.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설사증상의 아가에게는 감자, 고구마, 쌀밥(쌀죽,쌀미음:곡류성분), 식빵 등의 복합탄수화물 식단과 흡수가 잘되는 1/2~1/3로 희석된 사과쥬스, 바나나, 곶감,홍시 섭취를 권장합니다.

단당류가 많이 함유된 음료(탄산음료), 이온음료(포카리스웨트, 게토레이)는 제한해야 합니다. 되도록이면, 과일쥬스도 1/2~1/3로 희석해서 먹이도록 하면 좋습니다. 왜냐면, 음료속의 높은 당분은 오히려 소장,대장에서 삼투압성 설사를 일으키기때문입니다.

유산균(lactobacilli)이 많이 포함된 요구르트 소화분해 효소가 많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설사 증상에 좋습니다.

숙성된 치즈(Chedar, Swiss)는 가공된 치즈보다 설사증사에 좋습니다. 지방 함량이 높은 음식이므로 위장내에 머무르는 시간이 길어 소장에 천천히 도달하므로, 지방이 많은 식단(아이스크림, 생우유)가 도움이 됩니다.

반면에, 기름(식용유)에 튀긴(조리한) 음식(피자, 치킨, 도너츠, 튀김종류), 당분이 높은 쥬스, 탄산음료 같은 단당류 음식은 피하는 편이 좋습니다.

블로그 이미지

peterpani.com

한유석원장*소아청소년과전문의

,
5개월 아가로 혼합수유합니다. 요새 간혹 녹변을 봅니다. 그리고 3일이 되어도 변을 보지 않고, 힘을 주고 끙끙거립니다. 어떻게 해야 하죠?

아가의 대변 횟수 및 양상은 매우 다양합니다. 수유하던 중(동안)에 대변을 보기도 하고, 며칠 후(일주일 만)에 대변을 보기도 합니다. 또한 하루 섭취량, 아가 활동 정도, 모유 수유, 분유 수유, 혼합 수유여부에 따라 매우 다양합니다.  따라서 아가가 편히 잘 지내고, 구토하거나, 보채거나, 섭취량이 줄어 들지 않으면 시간을 두고 관찰함이 좋습니다.

아가 변비의 원인 역시 다양합니다.

 섭취량(수유량)이 적은 아가의 경우에 흔합니다. 특히, 적은 섭취량으로 인해 체중이 작고, 수시로 보채는 아가의 경우에 더욱 그러하지요.  보통 모유수유만 지속해서 3~6개월정도 될때, 체중증가가 또래비해 작고, 엄마의 모유가 충분하지 않다는 느낌이 들때, 아가들은 변비로 고생하는 경우가 제법 있습니다.

 물(수분)을 충분히 먹이지 않아서 대변이 딱딱해 집니다.  분유수유아가의 경우, 변이 되게 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모유수유아가의 경우, 엄마가 섬유질이 적은 식단을 많이 섭취하는 경우 변비가 생기기도 합니다.   이유식 시작 직후에 변이 되기도 합니다 (특히, 쌀, 곡류 등에서 섬유질이 적을 때)   드물지만, 위장 질환이 있을 때. (간혹, 갑상선 기능 저하증, 음식 알러지 )


항문부위에 압력이 가도록 하체운동을 시키세요아가를 눕혀 놓고 자전거 타듯이 무릎을 굽히면서 하복부에 가볍게 힘이 들어가게하면 배변활동에 좋습니다.  또한, 옆구리를 받쳐주면서 다리에 힘이 들어가게 하는 운동도 좋습니다.  아랫배를 부드럽게 맛사지하는 것도 좋구요.

배꼽아래 3~5cm 부위를 3분 정도씩 하루 3~4회 정도하면 좋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아랫배를 부드럽게 맛사지 해주세요


이렇게 한번 시도해보세요.

 분유 회사를 바꾸어 먹여 보세요.

 두유 또는 두유성분이 포함된 분유가 효과적이기도 합니다.

 이유식단(쌀)에 보리, 메밀, 야채 등을 추가해 보세요.

 바나나, 당근을 줄이고, 사과, 배, 과일즙을 많이 먹이세요.

 심한 변비로 아가가 많이 보채고 힘들어 할땐, 올리브기름을 면봉에 묻혀서 항문을 살짝 자극하세요. 곧, '뿌지직' 하면서 시원한 변을 보게 됩니다.


블로그 이미지

peterpani.com

한유석원장*소아청소년과전문의

,

아이가 무럭무럭 커서 벌써 7개월이네요. 이제 이유식도 곧잘 받아먹고 하는데 조갯살 넣어서 고소하게 이유식 만들어주려구요. 조갯살 벌써먹여도 될까요??

일단 시도해보시되 아가 반응의 관찰하며 진행하면 됩니다. 이유식을 시작하면서 수시로, 발진,설사를 쉽게 경험하게 됩니다. 대개의 경우 3~6시간 이내에 사라지는 발진은 일시적인 과정으로 생각하고 진행을 하면 됩니다. 그러나, 발진이 제법 크고, 12시간이상 지속되며, 입술,눈주위가 붓는다면, 음식물 단백을 충분히 분해하지 못하는 것으로 생각하고 좀더 기다렸다가 (2~4주후에) 시도하면 됩니다.

새로운 식단에 대한 알러지반응은 아가마다 다릅니다. 통상적으로 주의해서 이유식을 시작하자는 뜻이지, 반드시 먹으면 안된다는 것은 아닙니다. 다양한 음식은 각가의 영양소가 다르므로, 골고루 다양하게 먹이는데 노력해야 하겠지요. 동시에, 알러지(아토피) 발진, 삼키는 동안 질식의 위험성도 주의하면서요.

4 ~12 개월까지 주의해야 하는 식단은 다음과 같습니다.

* 감귤, 오렌지쥬스 : 알러지 증상을 일으키는 빈도가 많습니다.
* 계란 흰자 : 노른자는 먹어도 되나, 단백질이 풍부한 흰자는 아토피을 악화시킬 염려가 있어, 1세까지 기다리길 권합니다.  심한 아토피 피부인 경우, 2세까지 기다립니다.  
* : 야생꿀은 Clostridium botulinum(세균의 일종)균이 있어, 파상풍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어른은 소화기능이 충분해서 분해가 가능하지만, 어린 아가는 아직 곤란합니다. 
* 땅콩 버터 : 견과(땅콩)은 알러지 증상을 흔히 일으킵니다. 아빠/엄마가 땅콩 알러지를 가지고 있다면, 아가는 3세까지 기다리길 권합니다.  
* 밀, 밀가루 식단 : 보통 생후 6~8개월이 되면, 빵 또는 밀가루 음식을 시도합니다. 먹은 후 발진이 생긴다면, 1세까지 기다리길 권합니다. 
* 조개 : 알러지 증상의 빈도가 많습니다.  
* 견과류 (호도): 호도/견과류 알러지가 있다면, 3~4세까지는 기다리길 권합니다. 

* 기타 흔한 알러지 식품 : 옥수수, 콩(대두), 초콜릿 등이 알려져 있습니다. 
 
* 모유 수유 중이라면, 견과류, 유제품, 생우유는 제한이 아가의 알러지 예방 및 아토피 피부 호전에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엄마의 위장내의 우유 단백질의 분해 능력에 따라 개인적인 차이는 존재합니다.  

* 생우유 : 1세가 될 때까지는 조제분유 또는 모유를 먹여야 합니다. 1세전까지는 아직은 생우유 단백을 충분히 분해,흡수하기에는 충분히 못하기 때문입니다.



블로그 이미지

peterpani.com

한유석원장*소아청소년과전문의

,

4개월20일된 아가로, 음식먹는 걸 보면 쩝쩝 거리구 침흘리구 해서 이유식을 시작했습니다. 그런데, 시작해 보니 잘 먹더라구요. 처음엔 미음만 먹였는데 잘 먹다가 몇 번 먹으니 안 먹을라구 해서, 단호박, 고구마, 감자 섞여 먹였더니 너무 잘 먹더라구요. 너무 잘먹어서 걱정입니다. 이렇게 많이 먹여도 되는지요? 아기는 주는데로 맛있게 쩝쩝 거리며 다먹어요. 이유식을 줄여야 하나요?  
 


이유식 진행이 잘 되는 행복한(!) 아가의 경우입니다.  초반기에 잘 먹는 아가의 경우는 식단의 종류를 다양해서 초반의 흥미를 잃지 않도록 해주면 좋습니다. 일부러 이유식 횟수를 줄일 필요는 없습니다.

이유식의 기본적인 진행은 다음과 같습니다.

 처음엔 하루 한끼로 시작합니다.  첫날과 둘째날에 한끼로 괜찮으면, 셋째 날부터는 아침, 저녁으로 3~4일간 진행합니다. 아가가 좀더 편안해하는 것으로 보여지면, 그 이후로는 하루에 3회이상으로 진행해도 됩니다. 생후 8개월이 되면, 보통 하루 세끼 고형식(된밥)을 먹을 수 있게 됩니다. 

 앉혀서 숟가락으로 떠 먹이세요.  차분히 앉아 먹을 수 있는 어린이 의자, 끝이 부드러운 아가용 수저, 이유식용 접시 등이 필요합니다. 특히, TV 앞에서는 시청하면서 이유식 시작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되도록 5종류의 식단이 골고루 섞이도록 하여야 합니다. ⓵ 모유 또는 분유 보충하고,⓶ 곡류는 죽으로 시작해서 쌀밥, 된밥을 진행하고,⓷ 녹색/황색 채소 ⓸ 과일(계절) ⓹ 단백질 식단(닭고기, 치즈 유제품, 두부, 쇠고기) 으깬것들...

블로그 이미지

peterpani.com

한유석원장*소아청소년과전문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