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유'에 해당되는 글 2건


7세 여아의 그림으로, 소심하고 주눅들어하는 모습있어 동적가족화 그림을 통해 자녀의 마음을 살펴보았다.

가족 구성원은 4명(엄마,아빠,자녀(나), 동생)으로 이루어 졌으나, 가족의 주도권(파워)은 엄마의 역활이 크게 느껴진다. 4명의 가족은 수평적이고 독립적인 관계를 보여준다. 동생과 자녀(나)는 약간의 거리감을 형성하고 있다. 즉, 엄마를 중심으로 아빠-나의 3각의 관계와 거리감을 둔 동생과의 1:3의 관계를 형성하고픈 자녀의 심리를 옅볼 수 있다.

머리위의 이불은 평상시, 엄마/아빠가 퇴근후, 자녀와의 놀이시간 없이 곧바로 잠들어 버리는 모습을 형상하고 있다. 각자의 이불(독립된 생활-맞벌이-대화의 단절)을 암시하고, 동시에 자녀는 머리위쪽의 고민,불만을 암시하고 있다.

자녀는 이 시간을 자신만의 TV 시청으로 해소하고 있다.

그림 하부의 바다(빠질것 같은, 질식할 거 같은 불안감)을 상징하며, 이곳에서 열심히 생활하는 (미역, 먹을 것을 향해 전진하는) 미역(먹을 것)을 찾아가는 가족들의 모습을 형상화 했다.

실제로, 무뚜뚝하고 열심히 생활하는 유순한 아빠, 맞벌이를 하면서 활달한 성격의 영업을 하는 엄마 사이의 초등 1년의 그림입니다. 가족간의 거침없이 할말 다하는(수평적 관계) 이며, 2살의동생은 나(자녀)에게 거리감을 두고 싶은 존재로 표현됩니다.

바쁘고 힘든 바다같은 세상에서 성공적인, 금전적인 안정을 추구하는 물고기 3마리("미역을 먹으러 가는 물고기"라고 표현)를 자신의 가족으로 표현함으로 아빠-엄마의 노고를 이해하고 따라가려는 속깊은 마음도 보이는 착한 자녀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 그림을 통해 자녀의 마음을 간접적으로 나마, 제3의 눈으로 바라보는 기회가 되어 크게 만족하고, 좀더 자녀를 이해하게 되었다며 밝게 진료실을 떠나는 모습이 좋았습니다.

 


 

블로그 이미지

peterpani.com

한유석원장*소아청소년과전문의

,

※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지만 참고의 의미로 도움이 됩니다.

  (1) 다리미 : 어머니의 애정을 의미하나 어머니의 과잉 혹은 적절하지 못한 애정표현을 자녀가 느끼고 있는 것으로 해석한다.

  (2) 뜨개질 : 어머니의 따뜻한 애정을 나타내는 것이지만 가족 상호간의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므로 편물을 하고 있는 인물상의 위치, 크기 등의 관계를 살펴서 해석

  (3) 비 : 일반적으로 물은 억울함을 나타내는 경향

  (4) 의자 : 의자는 책상과 함께 그려지는 경우가 많다. 의자에 의해 해당인물상이 교묘하게 둘러싸여 있는 경우는 고립과 소외감을, 의자에 파묻혀 후두부만 보이게 그려져 있을 경우는 그 인물에 대한 거부감을 표현

  (5) 개나 고양이 : 개나 충성심과 공격성을 의미하며, 고양이는 부드러움과 공격이라는 불균형적인 태도와 양가적인 감정을 상징

  (6) 책상 : 의자와 함께 그려지는 경우가 많고 해석도 의자와 같이 한다. 책상은 부적응 아동이 적응아동의 경우보다 두배 이상 많이 그려진다.

  (7) 텔레비젼 : 안식이나 오락을 의미한다. 그림에서 TV를 보고 있는 사람이 한 사람인지 두 사람인지가 중요하다. 두 사람이상일 경우는 가족의 공통관심이나 상호작용이 시사되기 때문이다. 

  (8) 전등 : 밝음, 따뜻함, 애정을 원한다. 

  (9) 연필 : 연필을 사용하고 있는 행위는 자기 방어와 같은 합리화의 기제와 관련

 (10) 계단, 사다리 : 계단 위의 인물에 대한 불안이나 불안정감을 표현

 (11) 가구 : 가정 내의 물질이 그림으로 표현되고 가족 내의 따뜻한 마음의 연결이 부족하다고 느껴질 경우 외적 측면을 기대하려는 경향이 강함을 반영

 (12) 쓰레기 : 가족의 존재에 있어서 바라지 않는 더러운 부분을 버리는 것을 의미한다.

 (13) 자전거 : 남성적인 힘을 의미하고 그와 같은 힘의 강화, 보충을 시도하기 위한 것이라고 해석 

 (14) 자동차 : 자동차는 심리적 물리적 격리

 (15) 음식 : 일차적인 생리적 욕구의 충족을 항상 가정에서 구하고 있는 것을 말한다.

 (16) 물조리개 : 해당인물에 관계하는 불안이나 억울한 감정

 (17) 침구 : 해당인물에게 나타나는 거부감과 퇴행, 그리고 억울한 감정 

 (18) 청소기 : 지배적이고 통제적이며 때로는 거부적인 태도

 (19) 줄넘기 : 해당인물에 대한 포위 양식으로 그려지며, 해당인물의 갈등, 자기고착 상황을 의미.

 (20) 바늘 : 어머니나 할머니의 행위에서 표현되며 억제된 공격 행동

 (21) 공 : 힘을 상징

 (22) 모자 : 만들어진 상태와 자기 방어를 의미하며 수동적인 태도와 관련

 (23) 냉장고 : 어머니에게 기대는 의존적인 요구를 시사함.

블로그 이미지

peterpani.com

한유석원장*소아청소년과전문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