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음영이 진하거나 갈겨서 그리는 경우
  신체부분에 음영이 그려진 경우 그 신체부분에의 몰두, 고착, 불안을 시사한다.

  (2) 윤곽선 형태를 그리는 경우
  강박적 사고와 관련이 있다.
 
  (3) 신체부분의 과장
  신체부분의 확대 혹은 과장은 부 부분의 기능에 대한 집착을 나타낸다.  신체내부를 투명하게 보이는 경우는 현실왜곡, 빈약한 현실감각, 정신장애 가능성을 내포한다.

  (4) 신체부분의 생략
  그 신체부분의 기능의 거부와 그 부분에 집착된 불안 또는 죄의식을 나타낸다.

  (5) 얼굴표정

  (6) 정교한 묘사
  그림이 극히 정교하고 정확하며 질서가 있는 경우는 환경구성에 대한 자녀의 관심이나 욕구를 반영하는 것이나, 과도한 표현은 강박적이고 불안정한 심리상태를 의미한다. 

  (7) 그림선의 굵기
  선이 굵고 강하게 나타나는 경우는 충동이 밖으로 향하고 공격적이고 활동적이다. 반대로 약하고 가는 선은 우울하고 소극적인 사람에게 나타난다.

블로그 이미지

peterpani.com

한유석원장*소아청소년과전문의

,


  (1) 가족 구성원을 그리는 순서
  가족내의 일상적 순서(권위,친밀한 정도)를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

  (2) 가족 구성원의 위치
  위쪽으로 그려진 인물상은 가족 내 리더로서의 역할이 주어지는 인물을 나타내며, 아래쪽은 억울감이나 침체감과 관계 있다.
  좌우로 구분했을 때 우측은 외향성과 활동성에 관계하며, 좌측은 내향성과 침체성과 관계 있다.
 
  (3) 가족 구성원의 크기
  가족성원에 대한 관심의 정도가 인물의 크기를 반영한다.

  (4) 가족 구성원간의 거리
  인물상의 사이의 거리는 피험자가 본 서원들간의 친밀성 정도나 심리적인 거리를 반영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5) 가족 구성원의 방향
  그려진 인물상의 방향이 ‘정면’일 경우 긍정적인 감정이, ‘측면’일 경우는 반긍정, 반부정적인 감정을, ‘뒷면’일 경우 그 인물에 대한 부정적인 감정을 반영한다고 할 수 있다.

  (6) 가족 구성원의 생략
  가족원의 생략은 그 가족구성원에 대한 적의나 공격성 불안 등의 부정적인 감정을 표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7) 그외 타인을 그리는 경우
  가족구성원이 아닌 제 3자를 그린 경우 가족내의 누구에게나 마음을 터 놓을 수 없는 상태에 있을 때 타인이 묘사되는데, 주로 친구가 묘사되는 경우가 많다.  

블로그 이미지

peterpani.com

한유석원장*소아청소년과전문의

,